‘담합’ 매일·남양유업 128억 과징금

‘담합’ 매일·남양유업 128억 과징금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정위 8개월간 7건 적발 시차 두고 컵커피 값 올려



공정거래위원회는 14일 ‘카페라떼’ ‘프렌치카페’ 등으로 알려진 컵커피 값을 담합해 올린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을 적발, 각각 54억원과 7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양사 법인 및 담합에 가담한 임원 1명씩은 검찰에 고발됐다.

공정위에 따르면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은 지난 2007년 1~2월 2차례 임원급 회의와 3차례 팀장급 회의를 통해 컵커피 가격을 편의점 가격 기준으로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 올리기로 합의하고 실행에 옮겼다.

출고가는 두 회사의 생산원가 차이 등으로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매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편의점 소비자가격을 기준으로 담합하고 차례로 대리점, 할인점 등의 판매가와 출고가를 정했다.

동시에 값을 올릴 경우 담합 의혹을 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매일유업이 2007년 3월, 남양유업은 그해 7월에 가격을 올렸다. 두 회사는 2009년 초에도 원재료 가격 인상을 빌미로 다시 가격담합을 시도했으나 인상시기 등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공정위는 덧붙였다.

2010년 기준 컵커피 매출시장은 1830억원 규모로 남양유업(프렌치카페) 40.4%, 매일유업(카페라떼) 35.1%, 동서(스타벅스) 19.0%(348억원), 롯데칠성(엔제리너스·칸타타) 5.1%(93억원), 기타 0.4%(7억원) 등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날 과징금이 부과된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은 공정위 가격담합 적발의 ‘단골손님’인 것으로 드러났다. 매일유업은 지난해 12월 이후 이날까지 8개월간 모두 4건의 가격인상 담합 사실이 적발돼 공정위로부터 총 137억 34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남양유업도 같은 기간 3건의 가격 담합이 적발됐고 부과받은 과징금은 145억 2800만원에 달한다.

이처럼 8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한 기업에서 서너번씩 가격담합이 적발된 것은 거의 유례를 찾을 수 없다고 공정위는 밝혔다. 소비자단체들도 “소비자와 공정경쟁은 안중에 없이 이익만 극대화하겠다는 비윤리적 기업관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7-15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