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원로 5인에 길을 묻다] 외국계 IB, 올 한국성장률 4.0%로 하향

[경제원로 5인에 길을 묻다] 외국계 IB, 올 한국성장률 4.0%로 하향

입력 2011-09-05 00:00
업데이트 2011-09-0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진국發 경기악화 영향 8일 오바마 부양책 ‘촉각’



대부분 외국계 투자 은행들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렸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실물경제로까지 확산되는 양상이다. 미국의 ‘제로’ 고용 성장이라는 악재도 겹쳤다. 이에 오는 8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언급할 포괄적 경기부양책의 내용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4일 국제금융센터와 외국계 투자은행 등에 따르면 8월 말 9개 외국계 투자은행이 제시한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4.0%로 한 달 전의 4.2%보다 0.2% 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아시아 분석 대상 10개국 중에서 태국(3.9%)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치다. 중국이 9.1%로 가장 높고 홍콩 5.6%, 인도네시아 6.4% 등이다.

우리 경제 전망치를 내린 근본 배경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실물경기가 나쁜 데 있다. 미국 노동부는 8월 고용자 수가 늘지 않았다고 발표했고 이는 11개월 만에 가장 나쁜 성적으로 평가됐다.

세계는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에 주목하고 있다. 포괄적인 경기부양책에 일자리 창출 대책, 규제완화, 세제개혁, 모기지 대출 차환 프로그램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대책과 관련해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이 포함될지, 또 모기지 대출 차환과 관련해 집값이 대출액에 미치지 못하거나 연체가 발생한 사람도 포함시킬 것인지가 관건이다. 모기지 대출 차환 프로그램은 모기지 대출자가 차환 대출 시 4%의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9-05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