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車판매 8.1% 감소
고유가와 일본차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떠밀려 국내 자동차업계가 내수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신차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르노삼성차 등은 ‘성장’이 아니라 아예 ‘생존’ 자체를 두고 머리를 짜내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3/08/SSI_2012030802020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3/08/SSI_20120308020207.jpg)
각 업체들은 내수시장 점유율을 높이고자 차의 할인 폭을 늘릴 뿐 아니라 신차 발표를 앞당기는 등 다양한 마케팅에 나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신차 발표를 앞당겨 어려운 내수시장을 정면 돌파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달 말 3도어 ‘스포츠 쿠페’(2도어로 날렵한 외관이 특징인 차)인 ‘벨로스터 터보’를 출시하며 부진한 판매실적 만회에 나선다.
1600㏄급 휘발유 직분사식(GDi) 터보엔진과 6단 변속기를 장착, 최고출력 200마력을 발휘하는 벨로스터 터보는 ‘무늬만 스포츠 쿠페’라는 오명을 씻을 것으로 보인다. 또 4월에는 싼타페 풀체인지(디자인과 엔진을 모두 바꾸는) 모델이 기다리고 있다.
5월 기아차는 야심작인 K9을 선보이며 BMW와 벤츠 등 수입차와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내수시장 부진을 털기 위해 신차 발표를 앞당기는 전략을 택했다.”면서 “특히 K9은 BMW, 벤츠 등 수입차 고객들을 상당 부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지엠은 1% 초저리 할부를 무기로 내세웠다.
또 5월에 쉐보레의 자존심이라는 스포츠카 ‘콜벳’을 국내에 최초로 선보이며 브랜드 인지도를 올리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지난달 내수 판매가 5000대까지 큰 폭으로 하락한 르노삼성차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 딱히 내세울 만한 신차도, 르노 본사의 차량 수입 계획도 없기 때문이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신차 개발에 보통 3~4년 걸리기 때문에 올해도 신차를 발표할 수 없는 처지”이라면서 “대신 상품성 강화 모델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쓰겠다.”고 말했다. 지난 1월 고유가를 맞아 기존 SM5보다 연비가 1.5㎞/ℓ 향상된 에코임프레션 트림을 내놓았으며 다음달 16일에는 세계 최고의 보세(BOSE) 오디오를 탑재한 SM3 BOSE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하는 등 고객 선택의 폭을 늘릴 예정이다.
자동차공업협회 관계자는 “3월 15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기점으로 현대기아차 등 국내 업체들과 수입차업체 간의 마케팅 전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이라면서 “이는 국내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더욱 좋은 품질의 자동차를 낮은 가격에 살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3-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