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금융사·은행 2제] 국내지점 철수 러시 임박?

[외국계 금융사·은행 2제] 국내지점 철수 러시 임박?

입력 2012-03-26 00:00
업데이트 2012-03-26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1년 총자산 14.7% 감소… “대규모 자금 유출에 대비해야”

외국은행 국내지점들의 경영상태가 급격히 나빠지면서 미국·유럽계 은행을 중심으로 한국 철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철수과정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 등을 방지하려면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금융감독원의 2011년판 은행경영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하는 외국은행 37개의 총자산은 2011년 249조 7000억원으로 전년(292조 6000억원)보다 14.7% 감소했다. 특히 미주계와 유럽계 은행 국내지점의 자산이 47조 8000억원(19.3%)이나 줄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외국은행 지점이 연평균 22.4%씩 성장했던 것과 대조적인 현상이다.

실적도 크게 악화됐다.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당기순이익은 2008년 2조 2000억원에서 지난해 1조 2000억원으로 절반가량 뚝 떨어졌다. 미주와 유럽계의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1조 7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3분의1 수준으로 축소됐다. 순손실을 기록한 지점 수도 2009년 1개에서 2010년 3개, 지난해 5개로 늘었다.

앞으로 유럽 재정위기가 지속되고 영업실적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일부 지점이 철수하거나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은행 지점이 문을 닫으면 은행법 62조에 따라 국내 채권자들이 우선으로 변제를 받는다.”면서 “그러나 폐쇄 직전 외국은행 지점이 본점에 자금 송금을 많이 할 경우 채무 변제가 어려워지므로 감독당국이 평소 자금흐름 점검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위원은 “국내지점의 경영난이나 주력업무(트레이딩 등) 취급 불가 때문에 국내시장에서 철수하는 외국은행 지점이 나올 수 있으므로 대규모 자금 유출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3-26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