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로개선 사례 보니
산업용 특수원단을 만드는 한스인테크. 2조 2교대 근무를 3조 2교대로 바꾸면서 근로시간이 주당 66시간에서 51시간으로 줄었지만 임금은 90%를 보전해 줬다. 늘어난 여가시간에 일부 근로자들은 학습을 선택, 연 182시간의 정기교육을 받았다. 생산량이 18% 늘어난 효과를 가져 왔다.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은 29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장시간 근로 개선 사례발표회를 열고 우수 사례를 발표했다.
한스인테크는 근무조 1개 인력에 해당하는 8명을 추가 고용, 일자리도 창출했다. 근무시간 단축으로 인한 휴가일수는 연 52일에서 122일로 늘어났다.
꼭 교대제를 개편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TV플라스틱 부품 제조사인 리엔캄파니는 2조 2교대를 운영하면서 1개조에 1명을 추가 투입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대기업 협력업체로 마진율 등을 고려했을 때 당장 개편이 어려워 차선책으로 선택한 것이다. 연차 휴가캘린더를 배포하고 휴가활용 확대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실근로시간은 주당 58.5시간에서 주당 51시간으로 줄어들었다. 총 8명을 추가 고용했다.
점심시간 연장근로를 폐지하는 등 근로자들에게 충분한 휴식시간을 제공하자 불량률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무엇보다도 직장 내 활력과 직원의 만족도가 높아진 것이 회사 측에는 매우 고무적이었다.
회사 특성에 맞춰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한 경우도 있다. 정보기술(IT) 업체인 지오투정보기술은 집중근로시간제를 중심으로 대체휴무제, 재량근로시간 등을 선택하도록 했다. 근무시간은 본인 사정에 따라 고르지만 오전·오후 각각 1시간 동안에는 결재나 보고는 물론 전화, 잡담 등을 금지하도록 했다. 말 그대로 일만 하는 시간이다. 그 결과 실제 근로시간은 월 평균 191시간에서 182시간으로 9시간이나 줄어들었다.직원 만족도가 증가한 것은 물론 직원들의 자기계발 증가로 인해 생산성도 향상됐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3-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