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 엔화·위안화 직거래 뚜껑 열어보니

[Weekend inside] 엔화·위안화 직거래 뚜껑 열어보니

입력 2012-06-02 00:00
업데이트 2012-06-02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안화 국제화 미흡…中·日 1억弗 거래 그쳐 “낙오 안하려면 원·위안화 직거래 추진해야”

중국 여행을 갈 때 국내 은행에서도 우리나라 돈(원화)을 중국 돈(위안화)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원화를 곧바로 위안화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받은 원화를 은행들이 달러로 바꾼 뒤 이 달러를 다시 위안화로 바꿔 주는 것이다. 원화와 위안화의 직거래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그런데 중국과 일본은 엔화와 위안화의 직거래를 1일 시작했다. 중국이 달러 이외의 외국 통화와 직거래를 하는 것은 엔화가 처음이다. 우리나라 국민과 달리 일본 국민은 엔화를 위안화로 곧바로 환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중국에 물건을 수출한 일본 기업들은 지금까지는 달러로 수출대금을 받았지만 이제는 엔화로 직접 받게 된다. 수수료나 거래 편의성 면에서 큰 이득이다. 외환시장에서 상대국 돈을 직접 사고파는 것도 가능해졌다. 엔·위안화 직거래에 당사국은 물론 우리나라를 비롯해 다른 나라들도 큰 관심을 쏟은 이유다.

한국은행은 일본 도쿄 외환시장에서의 위안화 직거래 규모를 1억 달러가량(6억여 위안)으로 추산했다. 한은 도쿄사무소 측은 “개장하자마자 몇 백만 위안씩 주문이 나오고 거래 빈도도 제법 됐으나 차츰 거래량과 횟수가 줄면서 매매 스프레드도 벌어졌다.”고 모니터링 결과를 전했다.

정호석 한은 외환시장팀장은 “중국 상하이에서의 엔화 거래 규모는 파악이 힘들고, 도쿄 시장에서의 위안화 거래량도 추정치”라면서 “첫날이라 (거래량이) 많다, 적다를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거래가 무난하게 이뤄지고 관심이 매우 뜨거웠던 것만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아직은 초기라 좀 더 두고봐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엔·위안화 시장이 크게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좀 더 우세하다. 유상대 한은 국제국장은 “엔화와 달리 위안화는 아직 국제사회에서 통용되지 않고 있고 중국 정부의 외환시장 통제도 심해 당장 거래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면서 “거래가 크게 활성화돼 기존의 엔·달러나 위안·달러와 별도의 가격 체계를 형성하지 않는 한 국내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엔 시장의 실패도 엔·위안화 시장의 성공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우리나라는 1997년 원화와 엔화를 직거래하는 시장을 개설했다. 하지만 기대만큼 거래가 따르지 않아 결국 문을 닫고 말았다. 유 국장은 “원화가 국제화되어 있지 않고 달러화에 대한 두 통화의 움직임(강세 혹은 약세)도 달라서였다.”면서 “원·달러 현물시장이 서울에만 있고 미국에는 없는 것이나 2007년 원·엔 시장 부활 논의가 한창 오가다가 흐지부지된 까닭도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엔·위안화 직거래가 중국이나 일본 모두에게 아시아 역내에서의 자국 통화 가능성을 시험하는 중요한 시도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뒤따를 것”이라면서 “이 같은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낙오되지 않으려면 우리도 원·위안화 직거래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무역거래의 25%가 중국과 이뤄지고 있는데 결제는 달러로 한다.”면서 “경상 거래와 결제 통화 차이로 인한 환 위험을 줄이고 달러 의존도 탈피 등을 위해서라도 위안화와의 직거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경제의 위상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기 때문에 원·엔보다는 원·위안화 시장의 성공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말도 덧붙였다.

정부도 원·위안 직거래의 필요성은 인정한다. 하지만 당장 추진할 계획은 없다는 태도다. 이장로 기획재정부 외환제도과장은 “원·위안화 직거래는 원화 국제화라는 장기 목표에 부합하지만 짚어볼 요소도 많다.”면서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보듯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로서는 통제가 쉽지 않은 외환 변수의 등장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환투기 위험에 노출되거나 환율 변동성이 커질 우려도 있다는 얘기다.

안미현·전경하기자 hyun@seoul.co.kr

2012-06-02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