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현금흐름보상비율 12.3%P↓
장사해서 번 돈은 줄고, 빚은 늘어나면서 기업들의 빚 갚을 능력이 크게 퇴보했다.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강시’ 기업들도 늘어났다. 이 같은 고충은 기업에 고용된 직원들에게 그대로 전이될 수밖에 없어 기업과 가계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숫자가 높을수록 현금 사정이 양호해 충분히 빚을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업들의 빚 갚을 능력이 크게 후퇴한 것은 우선 벌어들인 돈이 줄었기 때문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순익이 전년보다 감소(6.9%)하고 재고자산 감소분 등도 확대되면서 현금 유입이 115억 6000만원에 그쳤다. 전년보다 8억 7000만원 줄었다.
반면 갚아야 할 원리금(원금+이자)은 2010년 216억 3000만원에서 2011년 251억원으로 34억 7000만원 늘었다. 들어오는 돈은 적고 나가는 돈은 많으니 지불 능력이 떨어진 것이다. 중소기업(2010년 26.3%→2011년 24.9%)보다 대기업(84.9%→67.5)의 현금 사정 악화가 두드러진다.
김영헌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대기업들이 투자에 쓴 돈이 늘어났기(715억 7000만원→739억 1000만원) 때문”이라면서 “이는 미래에 대비한 투자를 늘렸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꼭 나쁘게만 볼 일은 아니다.”라고 풀이했다. 원금은 놔두고 이자만 갚을 능력을 측정하는 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도 제조업 통틀어 2010년 763.4%에서 2011년 698.8%로 64.6% 포인트 떨어졌다. 이 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은 27.4%에서 28.4%로 늘었다. 제조업체 세 곳 가운데 한 곳은 기업 문패만 달고 있을 뿐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용어 클릭]
●현금흐름보상비율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으로 만기 1년 이내 단기 차입금과 이자비용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수치다.
2012-06-1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