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취업자 증가폭 40만명 아래로 ‘뚝’

6월 취업자 증가폭 40만명 아래로 ‘뚝’

입력 2012-07-12 00:00
업데이트 2012-07-1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취업자 증가 규모가 9개월 만에 40만명 아래로 내려앉고, 제조업 일자리는 11개월째 감소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하반기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세

11일 통계청의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511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만 5000명(1.5%) 늘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매달 40만명 이상의 증가 폭을 보이다가 지난달 들어 30만명대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9월(26만 4000명) 이후 가장 낮은 증가세다.

20대 취업자는 3만 4000명, 30대는 7만명 각각 줄었다. 인구 증감 효과를 제외하면 20대 취업자는 5000명 감소했고, 30대는 1만 5000명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40대는 전년 동월 대비 4000명 줄어 2010년 2월(3만 9000명 감소)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5만 1000명(-1.2%)이 줄어 11개월째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 1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만 8000명), 교육서비스업(7만 3000명), 도매 및 소매업(6만 3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제조업 취업자 -1.2%… 11개월째 감소

통계청과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취업자 증가 수 둔화가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교 시점인 지난해 6월 47만 2000명이나 취업자가 늘어난 탓에 올해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낮게 보인다는 것이다. 재정부는 “상반기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4만 9000명 증가해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하반기 취업자 증가 폭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박재완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주재한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고용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취업자 증가 폭은) 둔화되면서 ‘상고하저’(上高下低)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간 취업자 증가는 40만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7-1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