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마틴스 EPC 소장 “페북·삼성 같은 성장동력 나와야 유로존 위기 돌파”

한스 마틴스 EPC 소장 “페북·삼성 같은 성장동력 나와야 유로존 위기 돌파”

입력 2012-07-18 00:00
업데이트 201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로존 위기의 돌파구는 유럽에서도 제2의 페이스북이나 삼성을 만들어낼 젊은이들이 나와 주는 겁니다.”

세계경제연구원 초청 강연 참석차 17일 한국을 찾은 한스 마틴스 유럽정책센터(EPC) 소장이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유로존 위기는 저성장의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EPC는 유럽 통합 등 유럽연합(EU) 정책 연구와 관련해 가장 권위 있는 벨기에 브뤼셀 소재 싱크탱크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경제성장률 추이가 미국은 1~2%, 유럽은 0~1% 정도로 0% 수준으로 수렴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유로존 위기도 결국 경제 성장과 경쟁력 제고 방안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미 유로존 위기 해결의 패러다임은 ‘긴축’에서 ‘성장’으로 바뀌고 있다는 게 마틴스 소장의 진단이다. 완고한 긴축 정책을 밀어붙여 남유럽 국가들의 거센 반발을 샀던 독일 내부에서도 이런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의 경기를 부양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으로는 도로·통신 등 인프라 시스템 구축에 투자하는 유로 프로젝트 본드 도입과 자유무역 활성화 등을 제안했다.

하지만 그는 일부 유럽 지도자들과 전문가들이 위기의 탈출구로 꼽는 재정통합은 ‘위험한 길’이라고 경고하며 현실화될 가능성을 낮게 봤다. 마틴스 소장은 “재정통합은 ‘우리가 게으른 그리스인들을 구해주려고 진짜 통합을 해야 하나’라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면서 “EU 조약 변경은 물론 유로존 17개 회원국 각각의 승인도 받아야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유럽 전역에서 극우 지도자들의 세력화와 일반 국민들의 반(反)이민 정서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07-18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