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표류’ 우리금융 민영화 또 무산되나

‘12년 표류’ 우리금융 민영화 또 무산되나

입력 2012-07-25 00:00
업데이트 2012-07-25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모펀드도 입찰 주저…”차기정권으로 넘길 듯”

12년째 표류한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가 또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힌 KB금융지주가 예비입찰을 불과 이틀 앞두고 입찰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KB금융 이사들은 25일 오후 긴급 간담회를 열어 27일 마감하는 우리금융 예비입찰에 불참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어윤대 KB금융 회장은 우리금융 인수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으나, 입찰 참여에 부정적인 사외이사들을 설득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KB금융의 불참으로 우리금융 인수는 사모투자펀드(PEF) 간 대결구도로 좁혀질 전망이다.

지난해 입찰에 참여했던 MBK파트너스를 비롯해 IMM 등 국내외 PEF는 아직 입찰 참여 여부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PEF라도 우리금융을 경영할 전략적 투자자를 제대로 갖췄다면 국적을 가리지 않겠다는 게 정부의 공식 방침인 만큼 민영화가 무산됐다고 단정하기엔 이르다.

그러나 시장에선 우리금융 민영화가 결국 차기 정권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동양증권 성병수 연구원은 “KB금융이 들어와도 유효경쟁(복수입찰)이 될 수 있을지 불투명했는데, KB금융이 불참하면 사실상 무산됐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PEF끼리 경쟁하게 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PEF에 참여할 재무적투자자(FI)도 찾기 어려울 것”이라며 “PEF가 제대로 구성될 수 있을지조차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2차 매각 과정에서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던 보고펀드와 티스톤파트너스는 일찌감치 입찰 불참으로 가닥을 잡았다.

교보생명과 새마을금고연합회 등 PEF와 컨소시엄을 이뤄 인수전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했던 FI들도 주저하고 있다.

PEF끼리 경쟁하더라도 정부가 우리금융의 새 주인으로 PEF를 낙점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외환은행 매각 과정에서 론스타 문제로 홍역을 치른 금융당국이 ‘먹튀’란 인식이 덧칠된 PEF에 거대 금융지주를 넘기기는 부담스럽다는 이유에서다.

투자이익을 회수하기 위해 계열사를 분리 매각할 것으로 보이는 PEF의 속성도 정부의 방침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이처럼 우리금융 민영화가 무산될 가능성이 커진 데는 정치권의 반대가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당뿐 아니라 여당에서도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득세했기 때문이다.

특히 여권의 유력 대선 후보인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이 사안을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면서 우리금융 인수전은 급속히 냉각됐다.

민영화에 반대해 총파업 배수진을 친 금융노조의 압박과 인수자금 조달 부담, 역(逆) 시너지효과에 대한 우려도 걸림돌로 지목됐다.

올해 초만 해도 연내 매각을 자신했던 정부는 김이 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지난 4월 “우리금융의 건전성, 시장의 상황이 모두 괜찮아 (지난해와 달리)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했다.

정부는 일단 KB금융이 불참하기로 했지만 예정된 매각 일정은 그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난감하지만 일단 시작한 게임은 끝까지 가봐야 한다”며 “다른 곳에서 관심을 둘지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