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짝퉁’ 적발건수 루이뷔통 1위

상반기 ‘짝퉁’ 적발건수 루이뷔통 1위

입력 2012-07-30 00:00
업데이트 2012-07-30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적발수량으론 앵그리버드-비아그라 順국내 브랜드 위조상품도 8만6천점 적발

상반기 위조상품 단속에서 건수로는 루이뷔통이, 수량으로는 앵그리버드 캐릭터상품이 가장 많이 적발됐다.

국내 상표 ‘짝퉁’ 적발도 급증해 상반기에 작년 연간 실적을 돌파했다.

30일 관세청의 상반기 위조상품 단속 실적을 보면 총 315건에 6천159억원(정품시가 기준)이었고 해당 브랜드는 211개, 수량으로는 165만2천438점으로 집계됐다.

단속 건수는 루이뷔통, 샤넬, 구찌, 버버리 순으로 많았다.

범칙금액으로는 닌텐도, 롤렉스, 루이뷔통, 카르티에 순이었다. 닌텐도에 대해선 불법게임소프트웨어로 인한 저작권 침해가 많았다고 관세청은 설명했다.

적발 수량으로는 앵그리버드, 비아그라, KYK(일본의 소형 베어링 브랜드), 닌텐도 순으로 많았다.

품목별로 보면 완구·문구, 의류, 전기제품, 가방, 신발 순으로 많았다. 품목별로 많이 적발된 상표는 앵그리버드(완구·문구), 캘빈클라인(의류), 닌텐도(전기제품), 루이뷔통(가방류), 뉴발란스(신발류) 등이었다.

특히 국내 기업의 브랜드를 위조한 상품도 많이 적발됐다. 상반기에만 8만5천881점이 단속돼 전체 적발 수량의 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단속 실적을 훨씬 웃도는 것이다. 브랜드 수는 작년 연간으로 8개에서 올해 상반기 22개로, 같은 기간 적발건수는 27건에서 43건으로, 금액으로는 13억원에서 17억원으로 각각 늘었다.

완구류인 손오공 상표의 금속 팽이 위조가 많았고 블랙야크, 알로앤루(유아복), 라비또(휴대전화 케이스) 등을 위조한 제품도 적발됐다고 관세청은 전했다.

관세청은 “국내 브랜드 침해 사례는 과거에는 이어폰, 캐릭터 완구 등 일부 품목에 집중됐지만, 최근에는 유아복, 아웃도어 의류, 휴대전화 액세서리 등 침해 품목이 늘고 있다”며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또 국내 중소기업 보호를 위해 오픈마켓, 포탈사업자 등과 민관 합동으로 인터넷을 통한 위조상품 불법거래를 모니터링하고 휴가·단풍철에 침해 위험이 높은 상표에 대한 정보 수집도 강화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