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형 아반떼, 지킨다 18년 판매왕… K3·SM3·퍼펙트 크루즈, 넘본다 아반떼 아성

2013년형 아반떼, 지킨다 18년 판매왕… K3·SM3·퍼펙트 크루즈, 넘본다 아반떼 아성

입력 2012-08-18 00:00
업데이트 2012-08-1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반기 준중형차시장 불꽃튀는 판매

‘현대차 아반떼의 17년 독주를 막아라.’ 준중형차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아반떼의 아성에 동생인 기아차 K3가 새로운 디자인과 첨단 편의 장치로 무장하고 선전포고를 했다. 재기를 꿈꾸는 르노삼성차가 SM3를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시키고 덤빈다. 한국지엠도 퍼펙트 크루즈를 앞세워 준중형차 전쟁에 가세했다.

이미지 확대
2013년형 아반떼 페이스리프트 모델
2013년형 아반떼 페이스리프트 모델
●아반떼, 상반기 전차종 판매순위 1위

국내에서 아반떼의 위치는 확고하다. 1995년부터 17년 연속 준중형차 판매 1위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해는 전 차종 중 판매순위 1위를 차지했다. 올해 7월까지 아반떼는 6만 5324대가 팔리며 준중형급은 물론 전 차급 판매순위 1위에 올랐다. 경차인 모닝(5만 5603대)보다 1만대 가까이 많이 팔렸다. 대단한 인기다.

이미지 확대
기아차 K3의 공격은 오는 20일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포문을 연다. 다음 달부터 판매가 시작되면 본격화될 전망이다. K3의 월 내수판매 목표는 5000대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아반떼의 고객을 끌어와야 한다. 현재 2000대 정도인 포르테 판매량을 K3 출시로 5000대까지 늘리려면 아반떼 판매에서 최소한 월 2000대 이상을 잠식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K5가 쏘나타와 치열한 경쟁을 하듯이 K3와 아반떼도 양보 없는 승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K3는 멋진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다이내믹 머스큘래러티’(역동적 근육미)를 콘셉트로 삼아 역동적인 느낌과 전체적인 균형미가 돋보인다. 호랑이 코를 연상시키는 기아차 고유의 패밀리룩 라디에이터 그릴과 발광다이오드(LED) 헤드램프 등으로 강인하면서 당당한 느낌을 연출했다. 전체적으로 K9의 축소판으로 보면 된다.

K3의 도전에 아반떼도 상품성을 높인 2013년형 페이스리프트(부분 변경) 모델을 선보이며 1위 굳히기에 나섰다. 2013년형 아반떼는 LED 리어 콤비램프(뒷범퍼 양쪽 끝에 달린 램프)와 17인치 다이아몬드 커팅 알로이휠, 에어로 타입 와이퍼 등으로 스포티한 스타일을 강조했다. 또 차체자세제어장치(VDC)를 동급 최초로 전 모델에 기본 적용했으며 후방 추돌 때 충격을 빠르게 흡수해 상해를 최소화하는 후방충격저감시트 장착과 뒷좌석 중앙 3점식 시트벨트, 전방 주차보조시스템 등으로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했다.

●우리도 있다. SM3와 퍼펙트 크루즈

르노삼성차는 다음 달 ‘SM3’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내놓으며 준중형차 경쟁에 가세한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새롭게 선보일 SM3는 부분변경 모델이지만 파워트레인과 디자인 개선 덕분에 신차라고 보면 된다.”면서 “뛰어난 품질 만족도와 안정된 성능 등으로 하반기 국내 준중형 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SM3 부분변경 모델은 극심한 판매 부진에 시달리는 르노삼성차에 ‘구세주’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지엠도 지난 6월 상품성을 개선한 ‘2013 더 퍼펙트 크루즈’를 새롭게 선보이고 준중형차 시장에 바람몰이를 하고 있다. 기존 수평 벌집 모양의 라디에이터 그릴 대신 수직적인 느낌을 주는 신형 그릴로 바뀌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했다. 항공기 조종석 느낌의 크루즈 실내 디자인에 7인치 터치스크린, 모든 차량 정보를 스크린으로 조작하는 쉐보레 마이링크가 장착됐다. 퍼펙트 크루즈는 가격대와 차량 제원이 준중형차와 비슷하다.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자동차 시장 관전 포인트는 준중형차 대결”이라면서 “기아차 K3의 등장으로 현대차뿐 아니라 르노삼성차, 한국지엠도 상품성 강화와 공격적인 마케팅 등으로 불꽃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8-1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