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을 질주하는 한국기업] 농심

[대륙을 질주하는 한국기업] 농심

입력 2012-08-20 00:00
업데이트 2012-08-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운 맛 특화… 中 입맛 사로잡아

중국은 전 세계 라면 소비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큰 시장. 일본, 인도네이사, 말레이시아 등 해외 업체들은 현지 제품을 모방한 라면으로 중국인들에게 러브콜을 보냈으나, 냉담한 반응을 얻었다.

중국에 진출한 농심의 주력 제품들. 농심은 한국의 매운맛을 제대로 보여주겠다는 전략으로 주요 대형마트에서 주말마다 시식행사를 열고 있다. 농심 제공
중국에 진출한 농심의 주력 제품들. 농심은 한국의 매운맛을 제대로 보여주겠다는 전략으로 주요 대형마트에서 주말마다 시식행사를 열고 있다.
농심 제공


농심은 국가대표급 신라면을 앞세워 중국에 나가면서 ‘한국의 맛을 그대로 대륙에 심는다’는 전략을 세웠다. 끓여서 먹는 일을 귀찮게 여기는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매주 주말 대형마트에서 대대적인 시식행사를 펼쳤고, 신라면의 ‘매운맛’은 제대로 통했다. ‘매운 것을 못 먹으면 사내 대장부가 아니다’(吃不了辣味非好漢). 마오쩌뚱의 명언을 패러디한 이 광고 문구로 정서적인 측면도 건드려 소비심리를 꽉 잡았다.

결과는 대성공. 현재 중국 북방 지역의 소비자 69%는 라면을 끓여먹는 것으로 조사됐고 신라면 판매도 덩달아 늘었다. 신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신라면 블랙, 둥지냉면 등도 주력 제품으로 등극해 매출 신장에 기여하고 있다.

중국에 생산거점을 마련한 것도 성공의 토대가 됐다. 농심은 진출 이후 급변하는 시장 상황과 소비자 기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에서 라면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하는 데도 상당한 공을 들였다. 1996년 상하이 공장을 세우고 처음으로 라면을 생산한 이래 칭다오, 선양 등지에 생산체제를 갖췄다. 특히 2000년부터 가동에 들어간 선양 공장은 연간 라면 3억개, 스낵 1억개 생산 규모로 중국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기지 역할까지 하고 있다.

농심은 강력한 신(辛) 브랜드를 바탕으로 올해 중국에서 전년 대비 47% 늘어난 1억 36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린다는 목표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2-08-20 4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