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계 “금리 31% 아래로는 불가능”

대부업계 “금리 31% 아래로는 불가능”

입력 2013-05-17 00:00
업데이트 2013-05-17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당국 압박에 ‘대출 원가’ 방어논리

금융 당국이 대부업체에 대해 금리인하 압박을 본격화할 조짐이다. 물론 업체들은 더 이상은 무리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향후 팽팽한 줄다리기가 예상되는 가운데 대부업체들은 ‘대출 원가(原價)’를 들며 방어 논리를 펴고 있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5일 대부업계 행사에 참석해 “연간 30%대인 금리를 더 낮추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대부업계는 은행, 마을금고 등과 다른 원가 구조를 들어 30%대 금리가 결코 폭리가 아니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A대부업체 관계자는 16일 “자금 조달 및 운용비와 간접비, 이윤 등을 모두 따졌을 때 금리의 하한선을 31% 아래로 끌어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대부업계가 드는 첫 번째 이유는 조달금리다. 업체들이 다들 자기 돈 갖고 ‘이자놀이’를 하는 게 아니라 어딘가에서 돈을 조달해 와 자금을 운용하는데 애초부터 이 금리가 높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B대부업체 관계자는 “은행은 사회적 평판을 고려해 대부업계에는 돈을 빌려 주지 않는다”면서 “그러다 보니 저축은행이나 캐피털 등 제2금융권에서 돈을 꿔 오는데 금리가 11~12%에 이른다”고 말했다.

대부업계는 시중은행처럼 전국에 지점을 갖고 있지 않아 대출 모집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모집인에게 떼어 주는 수수료가 대출금액의 8~10%에 이른다는 것이다. 또 1, 2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서민들이 주로 돈을 빌리기 때문에 대출 부실률도 6~8%로 높다고 말한다. 여기에다 시스템 운영, 직원 월급 등 간접비용 3~4%와 이윤 3~4% 정도를 더하면 최저 31%, 평균 36%의 금리 적용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런 항변에도 불구하고 금융감독 최고 책임자가 대놓고 금리 인하를 요구한 마당이어서 고강도 압박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업계는 금리 인하의 여지는 중개 수수료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다음 달부터 대부업체가 모집인에게 지급하는 중개 수수료가 대출액의 5% 이내로 제한된다. 하지만 업체들로서는 대출영업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 수당이라도 주며 모집인을 끌어와야 하는 판국이어서 5% 상한제가 정착될 것으로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5-1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