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팀목 흔들리는 세계경제] “中 신용경색 위기 아니나 對中 수출 감소할 수도”

[버팀목 흔들리는 세계경제] “中 신용경색 위기 아니나 對中 수출 감소할 수도”

입력 2013-06-26 00:00
업데이트 2013-06-2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전문가 4인 한국 영향 분석

중국경제 전문가들은 현재의 신용경색 국면이 위기상황이라고까지 말할 수준은 아니라는 데 대체로 견해가 일치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 불안이 국내 증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넘어서 대(對) 중국 수출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예의주시할 것을 당부했다.

최성락 국제금융센터 차장은 지난 24일 중국 증시 하락에 한국, 일본 등 주변국 증시가 민감하게 반응한 것과 관련해 “중국이 그동안 해왔던 경제정책과 다르기 때문에 시장이 급격하게 반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 차장은 “그동안 성장률 때문에 거품(버블)을 내버려뒀던 중국이었지만 시장에 돈을 풀어도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재의 경제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면서 “시장에서는 이전과 다른 의외의 모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증시가 폭락으로 반응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중국의 신용경색 문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기 전부터 누적돼 왔던 문제로 이러한 문제가 없었다면 경기 부양이 잘됐겠지만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금융 시스템을 바로 세워가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경제 불안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가장 큰 문제는 대중국 수출 감소 우려다. 우리나라 전체 교역에서 중국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엄정명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금 중국의 금융 구조조정이 단기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라면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우리나라와 중국은 완제품이나 중간재 등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수출 및 수입에서 서로 관계가 깊기 때문에 중국의 경제 불안이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의 구조조정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조용준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증시가 바닥으로 떨어졌을 때 저가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센터장은 “이달 말까지는 어쩔 수 없이 증시 하락이 이어지겠지만 다음 달부터는 진정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이어 “그동안 중국 경제에 감춰졌던 여러 문제점을 고치고 나아가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는 심리적으로 불안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불안 요소를 없애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6-2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