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국채 투자 ‘경고음’

브라질 국채 투자 ‘경고음’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절세상품으로 각광받았지만 헤알화 가치 하락에 수익 저조

투자수익에 대한 비과세 덕에 지난 몇년간 인기를 끌었던 브라질 국채 투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브라질 정부의 토빈세(일종의 금융거래세) 폐지를 계기로 1~2년 단기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브라질 경제 현황에 대한 점검이 우선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브라질의 금융위기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다.

브라질은 우리나라와 맺은 조세협약으로 이자소득 및 환차익에 세금을 매기지 않는다. 이런 장점이 부각되면서 2011년 하반기부터 고액 자산가들에게 절세상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삼성증권이 지난 5월 말까지 2조 3000억원, 미래에셋증권이 1조 4000억원, 동양증권이 4000억원 등 총 4조원어치 이상의 투자상품을 팔았다. 지난달에는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단기 투자 서비스를 시작해 수천억원이 팔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투자 수익률은 저조하다. 1일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에 따르면 KDB자산운용의 ‘산은삼바브라질자채권C1’ 펀드의 6개월 수익률은 -8.08%(6월 28일 기준)다. 1년 수익률은 -2.89%, 2년 수익률은 -13.97%다.

브라질 국채는 표면금리가 연 10%로 1년에 두 번 이자가 지급된다. 헤알화로 지급된다. 투자자는 이를 달러로 바꾼 뒤 다시 원화로 바꾸는 이중 환전을 해야 한다. 그런데 2년 전 1헤알당 680원이었던 원화 환율은 지금 510원대다. 원화 대비 헤알화의 가치가 25% 떨어졌다. 여기다 증권사에 투자원금의 3% 정도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줘야 한다. 토빈세 도입기간(2009년 10월 20일~2013년 6월 4일)에 투자한 사람은 2~6%에 해당하는 토빈세도 냈다.

수수료라도 건지려면 장기투자가 필수지만 헤알화의 가치가 더 떨어질 것은 물론 금융위기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브라질은 올 1~5월 경상수지 적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9% 늘어난 396억 달러에 이른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지난해 2.4%에서 4.2%로 급등했다. 경상수지 적자를 외국인 자금으로 메워왔지만 적자가 더욱 늘어났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신흥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GDP의 3% 안팎이면 장기적으로 외환위기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2014년 월드컵, 2016년 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앞두고 유통 인프라 계획 등으로 재정 적자가 심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수지 적자에 재정적자까지 악화된 데다가 미국의 시중 유동성 공급 중단 등으로 외국인 자금마저 빠져 나간다면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7-0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