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문화 확산에 가공식품 업계 ‘방긋’

캠핑문화 확산에 가공식품 업계 ‘방긋’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캠핑푸드 시장 8천억원대…작년의 두 배로

캠핑문화 확산에 식품업계가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본격 캠핑철에 들어서면서 즉석밥과 소시지 등 ‘캠핑푸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식품업계는 캠핑푸드 시장 규모가 작년 4천억원에서 올해 8천억원대로 약 두 배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찌개양념 브랜드 ‘백설 다담’ 매출은 재작년 180억원에서 작년 250억원으로 약 39% 증가했다.

올해 매출 역시 30% 이상 성장세를 이어가 4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 연말까지 이동식 밥차를 이용해 전국 캠핑장에서 제품 시식행사를 진행하는 등 판촉에 힘 쓸 방침이다.

즉석밥 매출도 성장중이다.

즉석밥 햇반 매출은 캠핑족 증가에 힘입어 지난달 기준 올해 누계 매출이 작년보다 10% 늘었다. 7∼8월 휴가 성수기에 접어들면 즉석밥 매출은 20%대로 신장할 것으로 자체 예측됐다.

이마트에서는 올들어 지난달까지 햇반을 비롯한 즉석밥 매출이 23.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시지 등 구이용 제품도 인기다. CJ제일제당의 후랑크 소시지와 비엔나 소시지 제품 매출은 월 30억원대, 베이컨스테이크 제품은 월 25억원대의 매출을 각각 기록중이다.

대상의 경우 올 초 내놓은 ‘컵국밥’ 매출이 4∼6월에만 30억원에 달하는 등 캠핑과 관련해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농심은 캠핑푸드로 후추와 카레 수요가 늘어 매출이 예년보다 10% 증가했다고 전했다. 컵라면도 매출이 지난달까지 10% 증가했으며 이달 성수기에 접어들면 15%까지 매출이 신장할 것으로 농심은 예상했다.

온라인몰에서도 캠핑푸드 매출은 신장세다.

온라인쇼핑몰 G마켓의 경우 지난 한 달(5월25일∼6월24일) 간 가공식품 전체 매출도 전년보다 23% 늘었다.

이 가운데 통조림과 라면 판매는 각각 55% 늘었고, 즉석밥·덮밥은 27% 증가했다.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 전투식량 매출도 63% 증가했다.

구이용 돼지고기 매출이 169% 증가한 가운데 구이용 가공식품인 오리훈제고기는 55%, 소시지는 17% 각각 덩달아 판매가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