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통안채 169조도 부채’…새 공공부채 통계 도입

‘한은 통안채 169조도 부채’…새 공공부채 통계 도입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8: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부터 공표 예정…4일 공청회 개최

한국은행의 부채까지 포함한 새로운 공공부문 부채 통계가 도입된다.

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정부는 중장기적인 재정 건전성을 위해 최신 국제기준에 맞춘 공공부문 부채 통계를 산출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새 재정 통계는 공기업을 포괄하는 공공부문 채무 통계의 산출 및 공개를 추진 중인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9개 국제기구의 최근 지침에 따른 것으로, 분류 체계는 2008년 유엔의 국민계정체계(SNA) 기준을 토대로 한다. 이에 따라 한은 등도 공기업에 포함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새 기준에 의해 공공부문 부채 통계를 낸 다른 나라도 중앙은행 부채를 포함해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의 대표적인 부채는 발행 화폐를 빼면 통화안정증권으로, 5월말 현재 169조원에 달한다.

정부가 지금껏 내놓은 가장 포괄적인 공공 부채 통계는 작년 말 468조원으로 공표한 일반 정부의 채무로, 여기에는 중앙정부, 지방정부와 산하 비영리기관의 부채가 포함됐으며 공기업은 들어 있지 않다.

한은은 매년 별도로 기재부가 발표하는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 대상에도 포함돼 있지 않다.

그러나 새로 산출되는 공공부문 부채가 우려할 만큼 많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새 공공부문 부채 산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 공동 태스크포스에 참여해온 홍승현 한국조세연구원 재정지출분석센터장은 “연결재무제표로 공공 기관 간의 내부거래 등을 반영하는 만큼 부채가 생각처럼 많이 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통계청, 안전행정부 등 관계자도 참여하는 이 태스크포스는 오는 4일 산출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공청회를 연다.

정부는 새 방안을 오는 9월까지 확정한 뒤 내년 3월께 관련 통계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은행도 국민계정체계 기준을 현행 1993 SNA에서 2008 SNA로 바꾸면서 정부와 같은 분류체계의 공공부문 부채 통계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동안은 기획재정부와 한은의 공공부문 부채 통계가 차이를 보이면서 불필요한 논란을 낳기도 했다.

앞서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국제기구의 새 지침에 맞춰 지난 5월 추정한 지난해 한국의 공공부문 부채는 956조원9천억원이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75.2%로 일본(308.2%), 캐나다(154.8%), 호주(89%)보다는 낮고 인도네시아(33.1%), 필리핀(18%)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