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행원 된 엄마들 “일 그 자체로 설레죠”

다시 행원 된 엄마들 “일 그 자체로 설레죠”

입력 2013-09-09 00:00
업데이트 2013-09-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銀 첫 반일제 정규직 26일부터 일선 지점 배치

분명 모두 처음 만났는데 5분이 지나지 않아 여고 동창들처럼 수다를 떨었다. “어머, 어머”, “아이구~ 고생했겠다”는 추임새가 곁들여졌다. 기업은행의 반일제(半日制) ‘엄마행원’ 이광희(가운데·45), 김희정(왼쪽·44), 김명진(오른쪽·38)씨는 은행에서 일하다 육아 때문에 일을 그만둔 공통된 경험이 있어서 그런 것 같다며 “합격한 게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들을 지난 6일 서울 중구 을지로 은행 본점에서 만났다.
기업은행 제공
기업은행 제공
기업은행은 지난 2일 은행권 최초로 반일제 정규직 행원 110명을 뽑았다. 과거 은행에서 근무했지만 출산이나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하루 4시간만 일하는 준정규직으로 채용한 것이다. 정년이 보장되고, 복지도 정규직과 같은 수준이다. 이씨는 “주변에서 ‘신 위의 직장’이라고 부러워한다”면서 “일도 하고 육아·가사도 할 수 있는 엄마에게 최고의 일자리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행 남대문지점에서 아들에게 ‘눈물 젖은 짜장면’을 먹이다가 둘째를 낳으며 결국 일을 그만뒀다. 당시 세 살이던 아들을 어린이집에서 데려다 창구 옆자리에 앉혀놓고 짜장면을 시켜주곤 했다. 이번에 15년 만에 은행 현업으로 ‘컴백’을 했다. 이씨는 “아이를 키워줄 사람이 없어 일과 육아를 동시에 할 수 없었다”면서 “지금의 환경도 당시와 크게 달라진 점이 없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신한은행에서 외환업무를 담당했던 김희정씨의 사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외환은행 출신인 김명진씨는 “둘째까진 어떻게든 버텼는데, 셋째를 낳으니까 도저히 감당할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나이 들어서 손자들을 키우느라 고생하는 친정 엄마한테 미안한 느낌은 오직 딸만이 알 수 있다”면서 “결국 주변의 희생이 없으면 육아가 불가능한 우리나라의 현실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들은 일을 그만둔 뒤 몸은 편했지만 마음은 아팠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김명진씨는 “입행 동기들은 과장이 됐는데 나는 아줌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구나라는 생각에 자다가도 벌떡벌떡 일어났다”고 했다. 김희정씨도 “그만둔 지 몇달 지나지 않아 우울증이 왔다. 육아에 전념하고 싶은 마음에 그만뒀는데, 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아이를 더 잘 키우는 것도 아니더라”며 허탈한 표정을 지었다.

26일부터 일선 지점에 배치되는 이들은 두려움보다는 설렘이 크다. 돈 버는 것도, 주변에서 인정해 주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게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이씨는 “다른 은행들도 우리 같은 엄마 행원을 많이 뽑을 수 있도록 우리가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정씨는 “제 주변의 엄마들을 보면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다들 일할 의지가 많다”면서 “고학력에 경력도 화려하지만 좀체 일할 기회가 없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9-09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