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점진적 축소 가능성…”증시 충격 제한적”

양적완화 점진적 축소 가능성…”증시 충격 제한적”

입력 2013-09-09 00:00
업데이트 2013-09-09 1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고용지표 부진으로 양적완화(QE) 축소 시기가 미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지만 연준이 이달 예정대로 축소를 시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다만 급격한 규모의 축소 가능성은 작아졌다는 점에서 증시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7∼18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양적완화 정책 축소를 결정할 예정이다.

◇ 양적완화 축소 불확실성 확대

미국 8월 전국 평균 실업률은 7.3%로 전달과 비교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것이며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직전인 2008년 12월 이후 56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수치다.

실업률은 떨어졌지만 지난달 비농업 부문 새 일자리는 16만9천개 늘어나는 데 그쳐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6월과 7월의 신규고용도 각각 17만2천명, 10만4천명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직전 3개월 평균 일자리 창출 건수는 14만8천개에 그쳐 직전 12개월 평균(18만4천개)에 크게 못 미쳤다.

새 일자리가 많이 생기지 않았는데도 실업률이 떨어진 것은 그만큼 구직을 포기한 사람이 많다는 의미이다. 노동 시장 참가율은 1978년 8월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8월 고용지표가 질적인 면에서 부진하자 이달 축소 결정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고용지표가 출구전략 시행을 뒷받침하기는 역부족이고 부채한도 문제와 같은 잠재적인 불안요인도 있다”며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이 임박했지만 시기적으로 9월 시행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양적완화 축소는 예상대로 이달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의견이 여전히 우세하다.

이승준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양적완화 축소 시기 지연보다는 완만한 규모의 축소를 예상한다”며 “다른 미국 경제지표를 감안할 때 완만한 경기 회복 흐름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축소 결정돼도 증시 충격 제한적”

지난 7월 이후 외국인들은 국내 증시의 핵심 매수 주체로 자리 잡았다. 급격한 양적완화 축소가 시행되면 외국인 수급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8월 미국 고용지표가 질적인 측면에서 실망스러웠다는 점은 이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는 국내 증시 외국인 수급에도 긍정적”이라며 “선물옵션 만기 주간을 맞아 외국인 프로그램 수급의 단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지만 추세 훼손 변수는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양적완화 축소가 이달 시행돼도 미국 경기지표들이 최근 개선 흐름을 보여왔고 양적완화 축소가 시장에 이미 반영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채현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미 노출된 재료라는 점에서 양적완화 축소 시행에 따른 충격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축소가 시행돼도 경기 회복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로 점진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달 FOMC 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가 결정될 경우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단기적으로는 미국 국채 수익률이 주식 시장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김성노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양적 완화 축소에도 국채수익률이 안정되면 주식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고 국채수익률이 급등세를 보인다면 주식시장에는 단기 불안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