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부총리 “지금 증세하면 경기 꺼진다”

현오석 부총리 “지금 증세하면 경기 꺼진다”

입력 2013-09-17 00:00
업데이트 2013-09-17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출구전략 가능성에는 경계감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금 증세하면 경기가 더 꺼진다”며 섣부른 증세 논쟁에 반대입장을 나타냈다.

현지 시간으로 17~18일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대해선 “긴장하고 보고 있다”며 경계감을 보였다.

현 부총리는 16일 기자단 만찬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첫 증세 가능성 언급에 대해 “원론적인 말씀을 하신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비과세 감면하고 지하경제 양성화하는 게 조세형평에 맞고 이게 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럼에도 재원조달이 불가능하다면 그때 증세해야 한다”며 “경기가 나쁘고 세수가 줄면 경기를 활성화해야지, 증세를 하면 경기가 더 꺼진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의 이런 발언은 박 대통령의 첫 증세 언급으로 다시 ‘복지 축소 대 증세’ 논쟁이 불붙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앞서 국회 3자회담에서 “서민중산층의 부담을 덜어주고 고소득층의 부담을 늘려 그 재원으로 저소득층의 세부담을 경감시켜주고 복지에 충당한다는 게 확실한 방침”이라면서도 “세출구조조정과 비과세 축소로 복지재원을 마련하도록 하고 그래도 부족하면 국민 공감대 하에 증세도 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 부총리는 세목 가운데 법인세 증세 가능성에 대해서도 “법인세와 소득분배는 다르다. 법인세는 기업활동의 문제이고 세금은 배당 등 소득세에서 떼야 한다. 다른 나라도 법인세는 낮춘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반면에 비과세 감면 축소, 지하경제 양성화 등 세수 확보에는 자신감을 보였다.

비과세 감면 축소로 18조원을 조달하는데 별 이의가 없고 이에 따른 세수증가는 자동적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5년간 27조원의 재원을 지하경제 양성화로 마련하겠다는 국세청 계획에 대해서도 “가능할 것”이라며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이용 확대, 현금영수증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 확대 등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국세청은 올해 FIU 실적목표를 4천억원으로 잡고 있다.

현 부총리는 미 FOMC의 출구전략 개시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석 연휴 때 FOMC 때문에 나와야 할지 모르겠다”며 “며칠 주식시장에 외국인 자금이 많이 들어왔지만 어떻게 전개될지 모른다. 긴장하고 잘 봐야한다”고 답변했다.

미국이 양적완화 축소를 본격화할 경우 영향을 받을 국가로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경상수지 적자가 크거나 재정이 안 좋은 국가를 꼽았다.

기재부는 미 FOMC 결과가 나오는 19일 은성수 국제경제관리관 주재 비상대응회의에 이어 22일 추경호 1차관이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소집, 대응전략과 시장의 영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현 부총리는 이외에 내년 예산안과 관련, 여당의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요청에 대해 “세수가 줄고 경제가 어려우니까 그런 것이지, 거시경제 차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해 예산안을 보수적으로 잡고 있음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