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부채 5천818만원…저소득층 빚 한해 25% 증가

가구당 부채 5천818만원…저소득층 빚 한해 25% 증가

입력 2013-11-19 00:00
업데이트 2013-11-19 1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10명중 2명 빈곤 경험…10명중 4명 “기한내 빚 못갚아”

저소득층의 빚이 지난 한 해 동안 25% 가까이 늘고 재무건전성도 나빠졌다. 서민의 살림살이가 한층 더 어려워진 셈이다.

국민 10명 중 2명은 최근 2년 새 빈곤 상태를 경험했다. 빈곤율은 노년층이 낮아지지만 20대 청년층은 높아졌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19일 발표한 ‘2013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는 5천818만원으로 지난해 조사보다 6.8% 증가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국 2만가구 가운데 소득이 하위 20%인 1분위 저소득 계층의 부채가 특히 많이 늘었다.

1분위 가구의 부채 규모는 지난 3월 말 1천246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6% 커졌다. 소득 하위 20~40%인 2분위 가구의 부채도 3천330만원으로 16.3%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고소득 계층의 부채는 지난해 1억3천723만원에서 올해 1억3천721만원으로 조금 줄었다.

임시·일용근로자가 16.9%, 자영업자가 11.3%의 부채 증가율을 보였다. 상용근로자의 부채는 1.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가구의 평균 소득은 4천475만원으로 5.7% 늘었다. 그러나 처분가능소득은 3천645만원으로 4.9% 증가에 머물렀다.

처분가능소득의 증가가 부채 증가를 따라가지 못한 탓에 금융부채를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재무건전성 비율은 지난해 106.0%에서 올해 108.8%로 악화했다.

1분위(90.2%→107.0%), 2분위(113.5%→128.4%) 저소득 서민층의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나빠졌다. 5분위 고소득층의 재무건전성은 114.3%에서 108.6%로 좋아졌다.

전체 가구의 평균 소비지출은 2천307만원으로 5만원(0.2%) 증가에 불과했다. 부채 부담과 경기 침체에서 비롯한 내수 불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비(-2.9%)와 식료품(-2.0%) 지출은 줄었고, 통신비(7.6%)와 의료비(4.7%) 지출은 늘었다.

평균 비소비지출은 세금(3.6%), 공적연금·사회보험료(8.7%), 이자비용(6.8%) 등이 전반적으로 늘어 757만원에서 830만원으로 9.6% 증가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2천55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0.7% 증식했다. 소득 5분위 가구 자산(7억5천438만원)이 1분위 가구 자산(1억75만원)의 7.5배다.

빈곤율(연간 중위소득의 절반인 1천68만원도 채 벌지 못하는 가구의 비율)은 16.5%로 지난해 조사(16.6%)와 비슷했다. 지난해 중위소득의 절반은 1천7만원이다.

조사 대상 가구의 21.4%는 최근 2년 새 빈곤 상태를 경험했다. 이 가운데 절반을 넘는 11.0%는 2년 연속 빈곤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빈곤율은 20세 미만(11.9%→12.5%)과 20~29세(9.4%→10.5%) 등 청년층이 높아졌다. 60~69세(32.3%→28.3%)와 70세 이상(54.3%→53.9%) 등 노년층은 낮아졌다.

현재 사는 주택가격이 1년 뒤 내릴 것으로 전망한 가구 비율은 10.4%에서 12.3%로 높아졌다.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한 비율은 23.8%에서 19.5%로 낮아졌다.

빚을 진 가구 가운데 40.3%는 만기 내 상환이 불가능하거나 영영 갚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비율은 지난해 조사보다 6.4%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