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는 시작일 뿐’…내년 물가상승폭 커진다

‘전기료는 시작일 뿐’…내년 물가상승폭 커진다

입력 2013-11-21 00:00
업데이트 2013-11-21 0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물가가 내년에는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국제금융센터가 최근 집계한 10여개 투자은행(IB)의 소비자물가 전망치 평균은 올해는 1.3%에 불과하지만 내년에는 2.4%로 높아진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대부분 투자은행은 전기료 인상 등까지 감안해 물가를 전망했다”고 전했다.

투자은행별로는 노무라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6%로, 뱅크어브어메리카(BOA)는 2.8%로 상대적으로 더 높게 전망했다.

이와 관련, 노무라의 권영선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우려는 과민 반응”이라면서 “소비자물가는 곧 바닥을 치고 올라 내년 4분기에는 3%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전망은 올해 저물가의 원인인 무상보육 확대 등 복지 정책에 의한 물가 하락 효과가 내년에는 사라지는 데다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도 꾸준히 높은데 따른 것이다.

복지 정책에 의한 물가 하락 효과는 만 3∼4세 보육료 지원 대상이 종전 소득 하위 70%에서 전 계층으로 확대된 지난 3월 이후 0.36%포인트에 달했다.

국내 주요 기관들도 내년 후반으로 갈수록 물가 상승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2.5% 상승을 예상하는 한국은행의 전망치는 상반기 2.0%, 하반기 2.9%다.

내년 후반기로 가면 한은이 현 2.5%인 기준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는 셈이다.

한은 분석 결과, 복지 정책을 비롯한 특이요인과 농산물과 유가 등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현재도 약 2%이다.

김중수 총재는 지난 14일 “소비자물가는 시간이 흐르면서 근원물가에 수렴하는 경향을 갖고 있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는 거의 3% 수준”이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의 내년 소비자물가 전망치도 현대경제연구원·금융연구원 각 2.4%, LG경제연구원 2.5% 등 2%중반 대에 몰려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