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이 1000원”’착한 가격 마케팅’으로 불황 극복

”짜장면이 1000원”’착한 가격 마케팅’으로 불황 극복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15: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불황 속에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의 지갑을 여는 ‘착한 가격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8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자장면이 1천원” 착한가격 마케팅으로 불황 극복
“자장면이 1천원” 착한가격 마케팅으로 불황 극복 인천 연수구 옥련동의 중국음식점 ‘천하원’에서 1000원에 판매하는 짜장면
연합뉴스


2012년 10월 인천 연수구 옥련동에 개점한 중국음식점 ‘천하원’은 짜장면을 단돈 1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가격은 매우 저렴하지만 자장면의 맛과 양은 다른 중국집과 다르지 않다. 손님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천하원은 배달을 하지 않고 식당에서만 음식을 판매하는 데 집중했다. 물·단무지 제공은 셀프 서비스로 해 인건비를 줄였다.

줄어든 인건비는 음식값을 내리는 데 할애했다. 탕수육, 칠리새우, 깐풍기 등 이곳의 모든 음식은 인근 중국집보다 2000∼4000원 싸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식당운영자박소정(36·여)씨는 “인근 중국집과 차별화하려고 1000원짜리 짜장면을 개발했다. 남는 건 없지만 손님들이 짜장면과 함께 탕수육 등 요리를 많이 주문해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착한 가격’으로 승승장구하는 점포·식당 운영자들은 얇아진 고객의 지갑을 배려하는 게 불경기를 극복하는 비결이라고 말한다.

인천 남구 숭의동에 있는 고깃집 ‘새우물식당’은 지난해 8월 삼겹살 가격을 대폭 낮췄다. 삼겹살을 200g당 1만원에서 100g당 3000원에 제공한다. 정육점과 같이 운영해 고기가 싸고 맛이 좋다는 게 손님들의 반응이다. 새우물식당 운영자 최희순(36)씨는 “고기 1인분의 단위를 200g에서 100g으로 나누고 가격을 낮췄더니 매출이 30% 이상 늘었다. 손님들의 얇아진 지갑을 배려한 마케팅 전략의 효과”라고 말했다.

인천 부평구 부평시장에 있는 ‘홍두께칼국수’는 4년째 손님들에게 칼국수를 2천원에 대접한다. 2008년까지 칼국수를 3000원에 팔았지만 점포를 홍보하기 위해 2010년부터 가격을 1000원 내렸다. 단골손님이 생기고 수입이 20∼30% 늘어났다. 주인 신금순(53·여)씨는 “직접 도매시장을 다니며 음식재료를 대량으로 싸게 사들여 가격을 내렸다”며 “음식 가격을 내리면서 맛과 양을 유지하는 게 손님을 끌 수 있었던 비결”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현재 332개의 ‘착한가격업소’를 지정, 이들 업소를 시 홈페이지(www.incheon.go.kr)에 게재하는 등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의 상승에도 원가절감 등 경영효율화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소다. 지정기준은 가격수준이 지역평균 가격보다 낮거나 동결·인하한 업소이며 종사자 친절도, 영업장 청결도, 원산지 표시 이행 여부 등을 심사해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