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위한 졸업유예…대학생 ‘긍정’vs직장인 ‘부정’”

“취업위한 졸업유예…대학생 ‘긍정’vs직장인 ‘부정’”

입력 2015-01-02 08:44
수정 2015-01-02 0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취업 관문을 뚫지 못해 졸업을 미루는 대학생이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취업에 성공한 이들은 졸업유예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대학생 686명과 직장인 8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학생의 70.4%가 졸업유예를 긍정적으로 여겼고, 직장인의 52.9%는 반대의견을 표명했다고 2일 밝혔다.

실제로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 10명 가운데 7명 가까이(65.3%)는 졸업하기 전 취업을 못하면 졸업을 유예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유예 기간은 한 학기(52.7%) 또는 두 학기(42.2%)였다. 유예 방식(이하 복수응답)으로는 ‘어학성적 등 졸업요건 미달’(34.6%), ‘최소이수학점 미달’(14.5%), ‘졸업논문 미제출’(12.1%), ‘복수전공 신청’(6.5%) 등을 꼽았다.

대학생들이 졸업유예를 선호하는 이유는 ‘부족한 스펙을 쌓을 수 있어서’(53.2%), ‘인턴 등 졸업예정자로 한정한 기회가 많아서’(46.6%), ‘기업에서 졸업생을 기피해서’(43.1%) 등이었다.

반면 직장인들은 ‘취업 때 어차피 서류만 봐도 공백기를 알 수 있어서’(47.0%), ‘스펙 등 발전이 없으면 소용 없어서’(41.7%), ‘어차피 구직기간이 길어지는 추세라서’(25.1%) 등의 이유로 졸업유예에 부정적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