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회는 사내 근로복지기금에 출연하는 방식으로 매년 임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의 4%(통상임금의 9%) 수준의 개인연금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5월 금융위원회 감사에서 ‘방만 경영’이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사내 기금 추가 출연이 중단되면서 연합회는 사내근로복지기금에서 지원하던 사원복지연금을 인건비에 반영하는 ‘꼼수’를 부린 겁니다.
일부 은행에서 예산안에 문제 제기를 하자 연합회 측은 “금융위 감사 지적 사항은 맞지만 이후 별다른 언급이 없어 인건비 항목에 (개인연금 보조금을) 반영하기로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 어물쩍 넘어가려다가 ‘주주’들에게 딱 걸린 것이지요. 사실상 임직원 연봉이 깎이는 것도 연합회로서는 내키지 않았을 겁니다. 이사회 멤버들은 “은행에서도 수 년 전에 폐지했던 제도를 왜 아직까지 유지하고 있느냐”며 쓴소리를 쏟아냈습니다. 분위기가 험악해지자 하 회장은 “다음에 논의하자”며 논쟁을 중단시켰습니다.
연합회 임직원들은 21일 새해 첫 월급봉투를 받게 됩니다. 급여명세서 목록에 개인연금 보조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사회로부터 ‘혼꾸멍’이 난 연합회가 개인연금 보조금을 폐지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하 회장 선임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금융권에선 하 회장에 대한 기대감도 적지 않았습니다. ‘모피아’(재무부+마피아) 출신 회장들이 줄지어 거쳐 가며 은행연합회가 ‘공무원보다 더 공무원스러운 조직’이라는 질타를 받아 왔기 때문이죠. 한국씨티에서 14년 동안 행장을 맡으며 최장수 최고경영자(CEO)라는 수식어를 지닌 하 회장이 연합회에 변화의 바람을 몰고올 것이란 기대 섞인 바람도 컸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게 아니라 왠지 ‘조직’이 사람을 변하게 한 느낌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1-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