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의 이 한마디에 하나금융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발언 배경과 진의 파악으로 한동안 분주했지요. 금융권에선 지난해 ‘KB사태’와 멀게는 ‘신한사태’를 겪으며 후계 양성 프로그램이 주요한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하나금융 내부에서 ‘후계’ 발언이 나온 것도 그리 이상할 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도 아닌 김 회장에게서 이 말이 나온 게 ‘의외’라는 반응입니다.
김 회장은 ‘2인자’를 만들지 않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외견상으로 볼 땐 지주 부사장이 2인자인 것 같지만 김 회장은 특정 인물에 힘이 실리지 않게 권한을 적절히 분산시켜 왔습니다. 그래서 누가 봐도 ‘이 사람이다’ 싶은 ‘최측근’이 없습니다.
성균관대 행정학과 출신인 김 회장은 2008년 하나은행장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학연이나 지연을 앞세운 사적 모임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고려대 출신인 김승유 전임 회장 시절 고려대 출신들이 하나금융의 최대 계파를 이뤘던 것과 대조됩니다. 오는 3월 임기가 끝나는 김 회장은 연임이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2인자가 없는 터라 장기 집권도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런 상황에서 김 회장이 ‘후계’ 운운했으니 온갖 해석이 나올밖에요.
금융권 분위기상 김 회장도 후계에 신경 쓸 때가 됐다는 시각과 연임이 거의 확실해져 후계에 눈 돌릴 여유가 생긴 것이라는 해석이 교차합니다. 외환은행 노조 반발로 지지부진한 하나·외환 통합 작업에 그룹 임원들이 좀 더 열과 성을 다해 뛰지 않는다는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출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통합 공신’에게 김 회장이 선뜻 2인자 자리를 내줄지는 불투명하지만 통합에 소극적이면 후계군에서 탈락한다는 것만은 확실해 보입니다. 하나금융 안에서는 “임원들 임기는 하나·외환 통합 시점까지”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돕니다. 충성도에 따라 생사가 갈릴 것이라는 얘기지요.
김 회장은 늘 자신을 ‘촌놈’이라고 부릅니다. 2인자 양성을 앞세워 충성 경쟁을 유도하는 것을 보면 ‘촌놈’치고는 꽤 ‘밀당의 고수’인 것 같습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1-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