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이천에서 올들어 두 번째로 구제역에 감염된 소가 나오면서 구제역 확산에 대한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달 6일 경기 안성 한우농가에서 처음 소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1마리만 감염판정이 내려지긴 했으나, 소는 항체형성률이 90%대를 넘는다는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감염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소는 돼지에 비해 단가가 높아 구제역 발생시 피해가 더 큰 데다 지난 2010~2011년 구제역으로 15만여마리를 살처분했던 악몽이 남아 있다.
농식품부는 “이천의 한우농가는 지난해 10월 구제역 백신 접종을 했다고 보고했다”면서 “구제역 백신을 접종했더라도 면역 항체가 잘 형성되지 않은 개체에서 한정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입장이다.
사람이 예방주사를 접종해도 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듯 소도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겨도 항체가가 떨어지거나 강한 바이러스가 침투할 경우 건강하지 못한 소는 구제역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천 한우농가는 지난달 24일 구제역이 발생한 돼지 농가와 불과 3.8㎞ 떨어져있는데, 돼지는 구제역에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은 만큼 구제역 바이러스에 민감한 소가 그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천은 소 4만5천여마리와 돼지 30여만 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인근의 안성은 돼지 29만여마리와 소 10만여마리를, 용인은 소 1만1천여마리와 돼지 20여만마리를 사육하는 등 이 지역은 국내 최대 소·돼지 축산지역으로 꼽히고 있어 구제역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만큼 백신 외의 대책이 없다”면서 “소는 항체양성률이 90%대인 만큼 항체가 없는 개체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달 16~17일 전국 축산차량을 대상으로 일제소독을 실시한 뒤에도 구제역이 계속 나오는 데다 차량과 인구 이동이 많은 설이 3주 정도 앞으로 다가온 만큼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지난달 6일 경기 안성 한우농가에서 처음 소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1마리만 감염판정이 내려지긴 했으나, 소는 항체형성률이 90%대를 넘는다는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감염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소는 돼지에 비해 단가가 높아 구제역 발생시 피해가 더 큰 데다 지난 2010~2011년 구제역으로 15만여마리를 살처분했던 악몽이 남아 있다.
농식품부는 “이천의 한우농가는 지난해 10월 구제역 백신 접종을 했다고 보고했다”면서 “구제역 백신을 접종했더라도 면역 항체가 잘 형성되지 않은 개체에서 한정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입장이다.
사람이 예방주사를 접종해도 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듯 소도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겨도 항체가가 떨어지거나 강한 바이러스가 침투할 경우 건강하지 못한 소는 구제역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천 한우농가는 지난달 24일 구제역이 발생한 돼지 농가와 불과 3.8㎞ 떨어져있는데, 돼지는 구제역에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은 만큼 구제역 바이러스에 민감한 소가 그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천은 소 4만5천여마리와 돼지 30여만 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인근의 안성은 돼지 29만여마리와 소 10만여마리를, 용인은 소 1만1천여마리와 돼지 20여만마리를 사육하는 등 이 지역은 국내 최대 소·돼지 축산지역으로 꼽히고 있어 구제역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만큼 백신 외의 대책이 없다”면서 “소는 항체양성률이 90%대인 만큼 항체가 없는 개체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달 16~17일 전국 축산차량을 대상으로 일제소독을 실시한 뒤에도 구제역이 계속 나오는 데다 차량과 인구 이동이 많은 설이 3주 정도 앞으로 다가온 만큼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