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낙찰가율 88.3% 기록, 전셋값 상승 내집 마련 영향
아파트 경매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있다. 지난해 두 달 연속 하락했던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올해 들어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지지옥션은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이 88.3%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전달(86.1%)보다 2.2% 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아파트 낙찰가율이 지난해 ‘9·1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10월 89.1%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뒤 두 달 연속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서울은 88.8%로 전월(83.7%)보다 5.1% 포인트 올라가 지난해 10월 최고치(90.3%)에 육박했다. 경기도 역시 88.5%를 기록, 지난해 10월 최고치(88.9%)에 바짝 다가섰다. 전국 낙찰가율도 87.8%로 전월(87%)보다 상승했다. 대구시 낙찰가율은 107.6%로 지지옥션이 경매 통계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가율 상승은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투자 수요가 아파트로 몰리고 전셋값 상승으로 인한 내 집 마련 갈아타기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매 물건이 크게 감소해 인기 지역 아파트에 응찰자들이 몰리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달 경매에 부쳐진 아파트는 2239건으로 지난해 12월(2818건)보다 20.5% 줄었다.
고가 낙찰 사례도 속출했다. 감정가 9억원에 나온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아파트 74.4㎡는 9억 400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2-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