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경매시장 다시 과열

아파트 경매시장 다시 과열

입력 2015-02-02 23:54
수정 2015-02-03 02: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도권 낙찰가율 88.3% 기록, 전셋값 상승 내집 마련 영향

아파트 경매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있다. 지난해 두 달 연속 하락했던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올해 들어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지지옥션은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이 88.3%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전달(86.1%)보다 2.2% 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아파트 낙찰가율이 지난해 ‘9·1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10월 89.1%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뒤 두 달 연속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서울은 88.8%로 전월(83.7%)보다 5.1% 포인트 올라가 지난해 10월 최고치(90.3%)에 육박했다. 경기도 역시 88.5%를 기록, 지난해 10월 최고치(88.9%)에 바짝 다가섰다. 전국 낙찰가율도 87.8%로 전월(87%)보다 상승했다. 대구시 낙찰가율은 107.6%로 지지옥션이 경매 통계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가율 상승은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투자 수요가 아파트로 몰리고 전셋값 상승으로 인한 내 집 마련 갈아타기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매 물건이 크게 감소해 인기 지역 아파트에 응찰자들이 몰리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달 경매에 부쳐진 아파트는 2239건으로 지난해 12월(2818건)보다 20.5% 줄었다.

고가 낙찰 사례도 속출했다. 감정가 9억원에 나온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아파트 74.4㎡는 9억 400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2-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