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7·1588 전화가 내 돈 내고 쓴 거였다니…

1577·1588 전화가 내 돈 내고 쓴 거였다니…

이유미 기자
입력 2015-02-12 00:30
업데이트 2015-02-12 0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개 금융사 콜센터서비스 운영 통화료 年 450억 소비자에 부담

직장인 안모(27)씨는 한시도 손에서 스마트폰을 떼지 않는 이른바 신세대 ‘엄지족’이다. 그런 안씨도 평소 거래하는 카드사나 은행 서비스 관련 문의는 고객센터로 직접 전화를 걸어 처리하는 습관이 있다. “부가서비스나 결제 관련 문의는 상담원에게 직접 설명을 들어야 이해도 빠르고 더 안심이 되기” 때문이란다. 그런데 ‘1577-XXXX’, ‘1588-XXXX’ 등 금융사 콜센터 전화가 유료라는 사실을 아는 고객은 거의 없다. 대부분은 ‘서비스 차원에서 금융사가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로 알고 있다. 하지만 엄연히 고객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는 유료다.

11일 소비자 문제 연구소인 컨슈머리서치가 국내 주요 은행(12개사), 카드사(8개), 증권사(10개), 보험사(20개사) 등 50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콜센터 실태를 조사한 결과 43곳(86%)이 수신자부담(080)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특히 소비자 민원 및 상담 전화가 가장 많은 신용카드와 증권업계의 경우 무료상담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단 한 곳도 없었다.

대부분의 금융사들은 소비자가 요금을 부담하는 전국 대표전화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전화로 걸면 시내 지역은 3분당 39~45원, 시외 지역은 261~281원의 요금을 전화 건 사람이 부담해야 한다. 휴대전화에는 시외통화 수준의 요금이 부과된다.

컨슈머리서치는 주요 금융사의 하루 평균 콜 횟수를 3만회가량, 평균 통화 시간을 6분(3분 39원 시내통화 기준)으로 봤을 때 전체 소비자들의 부담이 하루 234만원, 연간 9억원이라고 추산했다. 이를 50개 금융사에 단순 적용하면 연간 450억원의 통화료를 소비자들에게 지우는 셈이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소장은 “금융기관들이 통신요금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면서도 요금 부과 여부에 대해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며 “통신료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라도 전화 안내음에 반드시 공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2-12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