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현 기준금리, 실물경기 제약하지 않는다”

이주열 “현 기준금리, 실물경기 제약하지 않는다”

입력 2015-02-17 11:28
업데이트 2015-02-17 1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분간 외환 여건 어려움 없을 것”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통화정책 기조가 실물경기를 제약하는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향후 경기나 물가 흐름은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1월에 비해서는 좀 더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줄을 잇는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환율전쟁’이라는 표현은 부적절하다는 해석도 제시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린 배경을 설명하면서 이런 견해를 밝혔다.

이 총재는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에 대해 “실물 경기를 제약하는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 나라의 통화정책이 완화적인지 긴축적인지를 판단하는 지표는 실질금리, 신용량 등 다양한 기준이 있는데, 여러 지표를 보더라도 현 금리수준은 실물 경기의 회복세를 제약하는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다.

이는 현 시점에서 추가 금리인하에 대해 소극적인 견해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기준금리 2.0%는 경기회복을 뒷받침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한 지난 1월의 이 총재 발언과 비교하면 표현수위가 다소 누그러져 눈길을 끌었다.

이 총재는 올해 경기 흐름에 대해서도 3.4%로 제시한 성장률 전망을 유지했지만 “하방 위험이 있는 게 사실이고 전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역시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이 총재는 최근 각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환율전쟁이라고 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많은 나라들이 통화정책을 한층 더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이들은 침체된 경기회복세를 좀 더 높이고 디플레이션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 완화 정책을 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결과로 환율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각국 통화정책을 환율전쟁으로 표현하는 것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환율에 대해 기준금리로 대응할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총재는 원화에 대한 엔화와 유로화의 환율 변화에 대해서는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원화가 엔화와 유로화에는 큰 폭으로 강세를 보였다”며 “그 여파로 대일(對日) 수출은 지난해 이미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대유럽연합(EU) 수출도 지난 1월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그는 100억달러 규모의 한일 통화스와프가 오는 23일 만기에 맞춰 중단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안정적인 금융시장 상황과 건실한 거시경제 여건을 감안한 결정”이라며 “당분간은 외환 여건 측면에서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