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가입자 500만 넘어… 점유율 8.8%

알뜰폰 가입자 500만 넘어… 점유율 8.8%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5-03 23:44
업데이트 2015-05-03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신비 이통 3사 43% 수준

‘알뜰폰’이 출범 2년 8개월 만에 가입자 500만명을 돌파했다. 알뜰폰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기존 이동통신사의 망을 빌려 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서비스하는 개념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일 알뜰폰 가입자 수가 지난달 21일 기준으로 504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동전화 시장에서 알뜰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출범 당시 2.88%(155만명)에서 현재 8.79%까지 늘었다. 월평균 13만 8000여명씩 증가한 셈이다. 미래부는 “알뜰폰이 앞으로 10∼15%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한다면 이동전화 시장에서 기존 이동통신사와 대등한 주체로 자리잡아 고착화된 경쟁구도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가입자당 평균수익(ARPU)으로 본 월 통신비는 알뜰폰 이용자가 평균 1만 5721원으로 이동통신 3사 이용자(평균 3만 6404원)에 비해 월 2만 683원(57%)을 아낀 것으로 집계됐다.

이동통신 사업자별 가입자 수는 SK텔레콤망이 233만 5000명, KT망이 228만 3000명, LG유플러스망이 42만 2000명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는 늘어났지만 아직까지 의미 있는 경쟁 주체로 자리잡진 못했다는 게 전반적인 업계 평가다. 우체국 입점 중소 사업자를 제외한 주요 알뜰폰 사업자가 아직 영업 적자 상태인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미래부는 이달 중 ‘알뜰폰 제2의 도약을 위한 3차 알뜰폰 활성화 계획’ 등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는 ▲2015년 도매대가 인하 ▲전파사용료 감면 연장 여부 ▲LTE·청년층을 주요 대상으로 알뜰폰 온라인 판매를 지원하는 허브사이트 개설 등이 담길 예정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5-04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