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신중 투자” 금감원의 뒷북 경고

“ELS 신중 투자” 금감원의 뒷북 경고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5-05-05 17:50
업데이트 2015-05-06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 일부 자금 빼기 시작… 지난달 말 발행 잔액 전월比 1조 9133억↓

금융 당국이 주가연계증권(ELS)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원금 손실 우려가 있는 ELS로 지나치게 많은 자금이 쏠리자 투자주의보를 내린 것이다. 지난 3월 말 ELS 발행 잔액은 61조 5460억원으로 2013년 말 대비 54.2% 증가했다. 하지만 일부 투자자는 지난달 초부터 과열 조짐이 보인 ELS에서 자금을 빼기 시작했다. 금융 당국이 ‘뒷북’ 대응을 한 셈이다.

금융감독원은 5일 ELS 쏠림 현상에 우려를 밝히면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ELS는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손익이 발생하는 파생상품이다. 실제 지난해 상환된 ELS 중 원금이 손실된 경우가 6.5%(금액 기준)이며 원금 손실률은 41.4%에 달했다. 즉 상환된 100개 ELS 중 7개가 평균 41.4%의 원금을 까먹었다는 의미다.

금감원은 ELS 투자 시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조언을 제시했다. 중위험 중수익으로 분류돼 최근 많이 가입하는 지수형 ELS도 주가 상승기에 가입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만기 시점에 지수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초자산의 수가 많아질수록 위험도가 커진다. 복수의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쓸 때 한 가지 지수만 하락해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6개월 단위로 만기가 연장되는 ELS는 시장 상황이 불리해지거나 자금이 필요해 중도 환매하려 해도 중도 환매가 아예 되지 않거나 중도 환매하더라도 수수료를 물어야 하므로 자금의 흐름에 유의해야 한다.

지난달 말 ELS 발행 잔액은 59조 6327억원으로 3월 말보다 1조 9133억원 줄었다. 일부 투자자들이 증시가 많이 오른 상황에서 장기간 돈이 묶이거나 원금 손실을 볼 가능성을 우려해 재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5-06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