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車부품 관세 10년내 단계 철폐… 쌀은 개방 안해

가전·車부품 관세 10년내 단계 철폐… 쌀은 개방 안해

입력 2015-05-05 23:40
업데이트 2015-05-06 0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베트남 FTA 정식 서명

한국과 베트남이 자유무역협정(FTA)에 공식 서명했다. 최근 우리 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가전, 화장품, 자동차부품 등의 관세가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철폐된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부후이호앙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은 5일 하노이에서 응우옌떤중 베트남 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한·베트남 FTA에 정식 서명했다. 상품수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499개 품목을, 베트남은 272개 품목에 대해 15년 내에 단계적으로 관세를 철폐한다.

이미지 확대
한·베트남 FTA 정식 서명
한·베트남 FTA 정식 서명 윤상직(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부후이호앙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이 5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에 정식 서명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하노이 연합뉴스
이번 협정에는 한·아세안 FTA에서 제외됐던 세탁기, 냉장고, 화장품 등의 관세 단계별 철폐 계획이 포함돼 있다. 세탁기와 냉장고에 부과되던 25%의 관세는 10년 이내에 철폐된다. 에어컨(30%)과 전기밥솥(20%)도 10년 내 관세를 철폐한다. 화장품은 10년, 자동차 부품은 종류에 따라 5~15년 안에 철폐된다. 화물차와 3000㏄가 넘는 승용차도 무관세 수출이 가능해진다. 베트남이 우위에 있는 농축수산물은 다소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열대 과일, 마늘, 생강, 돼지고기 등은 10년 내 철폐하고 천연 꿀과 고구마전분 등은 15년 내 개방하기로 했다. 쌀은 개방 대상에서 제외됐다.

산업부는 “이번 FTA는 최초의 ‘업그레이드형’ FTA로 2007년 발효된 한·아세안 FTA보다 상품 자유화 수준을 높이고 무역을 촉진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FTA로 우리 제품이 베트남 시장에서 일본 제품에 맞설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것도 의미가 있다. 우리 제품은 2009년 10월 베트남이 일본과 경제협력협정(EPA)을 발효한 뒤 가격 경쟁력 면에서 다소 불리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5-06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