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업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이건희 회장이 가진 삼성생명(20.76%)과 삼성전자(3.38%) 지분 일부를 삼성생명공익재단과 삼성문화재단에 출연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이 회장이 지분 일부를 두 재단에 출연하면 이 부회장의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삼성전자·삼성생명 지배력도 강화할 수 있다. 앞서 이 부회장은 이달 중순 이 두 재단의 이사장 자리를 부친인 이 회장에게서 물려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이 회장 지분의 재단 출연설은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지주회사 설립을 생략하거나 5조~6조원에 달하는 상속세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어서 삼성그룹의 부인에도 수그러들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문화재단은 삼성생명 지분 4.68%와 삼성전자 지분 0.001%, 삼성생명공익재단은 생명 지분 2.18%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 측은 지분 출연 없이도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등 거점 회사를 중심으로 관련 계열사들을 합치는 식의 지배구조 개편만으로 이 부회장의 지배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가장 중요한 거점 회사 중 하나는 삼성전자다. 5월 현재 전자 지분을 0.57% 가진 이 부회장은 전날 결의한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을 통해 삼성전자 지분을 4.06% 추가 보유하는 식으로 지배권을 강화하게 된다. 여기에다 삼성전자와 SDS가 추가 합병할 경우 이 부회장 일가의 삼성전자 지분은 최대 15%까지 올라간다. 현재 삼성물산과 이 부회장은 삼성SDS 지분을 각각 17.08%와 11.25% 보유하고 있다. 향후 삼성전기 등 관련 계열사들이 삼성전자로 집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처럼 삼성전자, 삼성생명 등 거점 회사를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다시 짜려는 것은 당분간 지주회사를 만들거나 형제들 간 계열분리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오너 일가가 힘을 모아야 그룹 내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데다 이부진 사장의 신라호텔이나 이서현 사장의 제일기획 등도 삼성의 울타리 안에 있는 편이 훨씬 이득이기 때문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계열분리는 이재용 형제들의 자제들이 성년이 된 뒤 분가할 때쯤 검토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5-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