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에 전자상거래 활용한 소비재 수출 독려
정부가 기업인들에게 중국의 소비재·서비스시장에 진출하도록 독려하고 있다.중국이 자체적으로 중간재·자본재를 생산하는 능력을 상당 수준까지 끌어올린 상황에서 가공무역 위주의 대(對)중국 수출이 감소한 데 따른 위기의식 때문이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차관은 지난 28일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제4차 한중 최고경영자(CEO) 라운드테이블’에서 “최근 중국의 수입 수요가 중간재에서 화장품, 의약품, 의류 등 소비재 위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지난 30년간의 폭발적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 주도형 경제운영방식을 버리고 내수시장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성장 동력을 교체하는 ‘신창타이(新常態)’를 제창한 만큼, 한국 기업들도 변하는 환경에 맞춰가야 한다는 것이다.
주 차관은 “14억 중국 인구가 노동력이 아닌 소비력의 상징이 됐다”며 “이미 경쟁력이 확인된 한류 문화 콘텐츠 확대에만 만족하지 말고 달라진 중국인들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를 화장품, 패션, 미용산업에 특화된 ‘뷰티허브’로 개발하는 등 한국형 서비스산업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 차관은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가 온라인 쇼핑몰 ‘티몰(T-mall)’에 한국 상품 전용 코너를 열었듯, 한·중 협력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렇게 해야 중국 내수시장에 소비재를 원활히 수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 차관은 중국 기업인들을 향해서는 한·중 양국의 금융협력을 강화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전략에 발맞춰 한국은 위안화 역외허브로 거듭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에 동참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이후 한국의 경우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국 본사-중국 현지법인 사이 위안화 결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그러나 상대적으로 한국 기업-중국 현지기업 간 달러 중심 무역결제 관행에는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