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비상-기준금리 인하] 한은 “골든타임 놓칠라”… 메르스發 경기 위축 선제 대응

[메르스 비상-기준금리 인하] 한은 “골든타임 놓칠라”… 메르스發 경기 위축 선제 대응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06-12 00:08
수정 2015-06-12 0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상 최저 기준금리 안팎

이미 사상 최저인 기준금리(1.75%)를 또 낮추면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강조한 것은 “빨리 움직이자”였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이 장기화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4월 세월호 참사 이후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올 들어 한은의 행보가 적극적이고 빨라졌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의 그림자가 가까이 다가왔다는 의미이다.

이미지 확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1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달 첫 주 백화점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5%, 할인점 매출액은 3.4%씩 줄어들었다. 메르스 불안 심리로 관광·여가 등이 위축되면서 음식점 카드 사용액은 지난달에 비해 12.3% 줄었다.

문제는 소비 위축이 지난달에 이미 시작됐다는 점이다. 지난달 휘발유와 경유의 판매량은 전년 동월에 비해 2.2% 줄었다. 저유가 덕으로 올 들어 2월 12.1%, 4월 8.7%였던 증가세가 꺽인 것이다.

지난달 카드 사용액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7.1%다. 지난 4월 증가율 15.4%의 반 토막이다. 특히 올 4월부터 연금보험료 등의 신용카드 납부가 허용되면서 카드 사용액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를 고려하면 5월의 카드 사용액은 줄어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 메르스 파문이 더해져 2분기 경제 지표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박승 전 한은 총재는 “금리 인하가 경기 불황과 메르스 사태 때문에 불가피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이 총재는 “2분기 경기 흐름이 앞으로의 회복세를 판단할 수 있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분기점이 지난해 2분기의 판박이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크다.

세월호 참사로 지난해 4월 백화점 매출(-1.4%), 할인점 매출(-4.1%), 휘발유 판매량(-0.9%)은 전년 동기보다 다 줄었다. 그해 5월 조금이나마 반등하는가 싶었지만 6월 다시 부진해 지난해 2분기 경제성장률은 0.5%(전기 대비)에 그쳤다. 전분기 성장률(1.1%)과 비교해 반 토막이 난 것이다. 이 총재로서는 취임한 지 한 달 만에 세월호 참사로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그해 8월이 돼서야 연 2.5%에서 2.25%로 내렸다. 1년 3개월 만의 인하였다. 이 영향 등으로 3분기 성장률이 0.8%로 되살아나나 싶었지만 세수 부족에 따른 ‘재정절벽’에 막혀 4분기 성장률은 0.3%로 급락했다. 올 1분기에 겨우 0.8%로 올라섰지만 여전히 0%대다.

문제는 올해 수출이 영 부진하다는 점이다. 수출은 올들어 5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올해 한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3.1%)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부분은 2.1% 포인트로 수출(1.0% 포인트)의 두 배이다. 한은도 수출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은 했지만 감소폭이 예상치를 훌쩍 넘어 내심 당황하는 기색이다. 엔화 약세 여파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한은이 지난 3월 기준금리를 경제전망 수정 한 달 전에 내린 데는 수요 부진에 따른 올해 소비자물가 0.9%(전망치)가 큰 영향을 미쳤다. 소비 위축으로 ‘가 보지 않는 길’을 갔는데 이번에도 소비 위축으로 더 깊이 들어간 것이다. 그만큼 올해 우리 경제에서 소비가 핵심 변수가 됐다.

한은과 기재부가 예상하는 2분기 성장률은 1%다. 하지만 5월 들어 부진한 지표에 6월 메르스까지 겹치면서 1% 복귀는 어렵다는 관측이 퍼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올해 성장률은 2%대로 추락하게 된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6-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