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 1천700만원대 회복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 1천700만원대 회복

입력 2015-07-02 11:20
업데이트 2015-07-02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2012년 이후 34개월만에 3.3㎡당 1천700만원대에 재진입했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2년 9월 1천699만원으로 1천700만원 아래로 내려간 이후 줄곧 1천600만원대를 유지하다 지난달 1천710만원으로 다시 1천700만원대에 들어섰다.

이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의 전 고점이었던 2010년 3월의 1천850만원과 비교하면 92%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3년 12월 3.3㎡당 평균 1천622만원까지 떨어지며 바닥을 쳤다가 저금리 기조, 재건축 가능 연한단축,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3년 유예, 민간택지 분앙가 상한제 폐지 등의 요인으로 상승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의 3.3㎡당 평균 아파트값이 1천700만원대로 다시 올라선 데에는 강남 4구 아파트값 상승의 영향이 컸다.

이 지역의 아파트값은 강남구 8.81%, 서초구 8.43%, 강동구 6.12%, 송파구 6.03% 상승했다.

재건축 연한 10년 단축의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양천구(5.28%)와 노원구(4.69%)의 아파트 가격도 올랐다.

중소형 저가 아파트가 많은 중구(3.48%), 성북구(3.30%), 도봉구(3.21%) 등 강북지역도 아파트값 회복세에 힘을 보탰다.

부동산114 서성권 선임연구원은 “전세난에 지친 실수요자들이 저금리를 이용해 내 집 마련에 나서면서 서울 아파트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