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퍼스트’ 한국…”스마트폰으로 욕구 바로 충족”

‘모바일퍼스트’ 한국…”스마트폰으로 욕구 바로 충족”

입력 2015-07-02 11:52
업데이트 2015-07-02 1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검색·구매·감상 등의 인터넷 활동이 다른 나라보다 활발해 ‘모바일 퍼스트’ 국가로 꼽혔다.

구글이 전 세계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 행태를 분석해 2일 공개한 ‘컨슈머 바로미터’ 최신 데이터를 보면,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60%는 PC보다 스마트폰을 더 자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33%는 스마트폰과 PC, 태블릿을 비슷하게 사용한다고 답했다. PC나 태블릿을 스마트폰보다 자주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에 그쳤다.

우리나라는 조사대상인 18세 이상부터 55세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가 스마폰을 사용하며 이들의 94%는 스마트폰을 12개월 이상 쓴 ‘숙련된’ 사용자로 나타났다.

대다수는 스마트폰으로 검색엔진(86%), 사회관계망서비스(SNS, 50%), 동영상 시청(31%), 제품정보 검색(58%), 지도 및 길찾기(54%) 등 다양한 기능을 고루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스마트폰 보급률이 가장 높은 10개 국가 중 5개, 스마트폰 보급률이 PC 보급률을 앞선 21개 국가 중 11개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속했다.

특히 아태 지역 소비자들은 새로운 것을 찾고 감상하거나 구매하고 싶을 때 반사적으로 가장 가까운 기기인 스마트폰을 이용해 욕구를 바로 충족시키는 ‘마이크로 모먼츠’(Micro-moments)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서도 우리나라는 가장 두드러졌다.

매주 모바일에서 검색하는 사용자의 비중은 88%로 중국을 제치고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구매 전 스마트폰으로 상품과 가격, 기능을 비교하는 온라인 소비자의 비중(51%)도 아·태 지역 1위였다.

이번 데이터는 여론조사기관인 TNS 인프라테스트가 구글 의뢰를 받아 전 세계 56개국 40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웹사이트(www.consumerbarometer.com)에서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은 “소비자들이 스마트폰과 함께 더 똑똑해지고 빨라지면서 마케터들도 단순한 인구통계 정보를 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자 한다”며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를 이해하는 데 컨슈머 바로미터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