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백일해 환자 78명 발생…작년의 2.5배

올해 백일해 환자 78명 발생…작년의 2.5배

입력 2015-07-10 12:29
수정 2015-07-10 1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들어 백일해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해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백일해 환자는 9일 기준 총 7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1명)의 2.5배로 늘었다.

백일해는 심한 기침이 주된 증상인 호흡기 질환이다.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기침, 재치기 등을 통해 호흡기로 전파돼 감염된다.

올해 연령대별 백일해 환자 발생 현황을 보면 1세 미만이 24명(30.8%)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환자가 18명(23.1%), 13∼19세가 11명(14.1%) 순이었다.

성인 환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20세 이상 환자는 총 19명으로 2010년 발생환자 2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성인의 발병 이유는 영유아기에 접종한 백신의 효과가 연령이 증가하며 서서히 감소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

보건당국은 영유아뿐 아니라 4∼12세 아동, 성인(10년/1회 접종)에 대해서도 예방접종을 할 것을 권장한다.

성인의 경우, 백일해 증상이 심하지 않지만 고위험군인 영유아를 감염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영유아와 생활을 같이하거나 접촉이 많은 이들은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예방을 막기 위해서는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잦은 기침이나 발열, 구토 등 의심증상이 있다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