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보이스피싱 때문에…” 금감원 안내도 금융사기로 오인

[경제 블로그] “보이스피싱 때문에…” 금감원 안내도 금융사기로 오인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5-07-19 17:48
업데이트 2015-07-19 19: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 그놈의 보이스피싱 때문에….”

금융 당국이 ‘정보 유출 노이로제’에 걸린 국민 때문에 속을 끓이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얘기냐고요?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14일 개인 신용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를 보상해 주는 상품인 ‘신용정보보호서비스’를 점검했는데요. 비슷한 상품에 두 개, 세 개씩 가입한 고객이 무려 4만 6203명이나 됐습니다. 고객들이 낸 이용요금만 해도 4억원이나 됐지요.

이 서비스는 여러 개 들어도 중복 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만 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카드사들이 복잡한 상품 내용을 두루뭉술하게 설명해 소비자들이 잘 모르고 가입한 것이지요. 금감원은 지난달부터 중복 가입을 막고 나이스평가정보를 통해 해지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나이스평가정보가 6월 15~30일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을 세 차례나 보냈지만 반응이 별로 없습니다. 서울신문이 파악한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중복 가입자 해지 및 환급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나이스평가정보를 통해 해지 신청을 한 가입자는 불과 5248명에 그쳤습니다. 전체 중복 가입자의 11.4%이지요. 한 달 가까이 독려한 것치고는 초라한 성적입니다.

중복 보상이 안 되는데도 고객들은 왜 서비스를 해지하지 않을까요. 금융권은 ‘보이스피싱 트라우마’를 원인으로 꼽습니다. ‘자라’(보이스피싱 등 각종 금융사기) 보고 놀란 가슴이 ‘솥뚜껑’(중복 해지 안내 문자) 보고도 놀라는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나이스평가정보는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로 해지 신청 전용 사이트를 안내합니다. 그런데 이를 ‘스팸’ 문자로 여기거나 ‘파밍’(가짜 웹 페이지에 접속시켜 개인정보를 훔치는 사기)으로 오인해 접속을 꺼린다는 겁니다. 최근 ‘금감원 이동수 과장’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린 데다 탤런트 이해인씨가 피싱 사기로 전 재산 5000만원을 잃은 소식이 퍼져 국민 불안도 커진 상태이니까요.

이 때문에 나이스평가정보는 아직 해지 신청을 안 한 가입자 4만 955명에게 8월까지 콜센터를 통해 일일이 전화로 설득하기로 방침을 바꿨다고 합니다. 금감원도 “금융사기가 아니니 제발 믿고 받아 달라”고 호소하네요.

그동안 얼마나 당했으면 돈을 돌려준다고, 중복 가입하면 손해라고 말을 해도 국민들이 믿지 못할까요. 이런 점을 감안해 나이스평가정보는 차별화된 본인 인증 방법을 고민 중이라고 합니다. 보이스피싱인지 아닌지 정 불안하다면 직접 ‘전용 콜센터’(1899-4580)나 ‘해지신청 사이트’(www.ncheck.co.kr)를 통해 중복 가입 여부 확인 및 해지 신청을 해도 된다고 하네요.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7-20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