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주 발명 프로젝트’로 성장 정체 대형마트 탈출구 찾기 나서
이마트가 6일부터 시작한 ‘52주 발명 프로젝트’로 성장 정체기 상황에서 탈출구를 마련하고 있다.52주 발명 프로젝트란 세상에 없던 상품과 가격을 만들어 고객에게 이마트가 항상 기대가 되는 곳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업계 1위 이마트가 이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이유는 대형마트 시장이 포화 상태에 놓여 있어 성장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또 온라인과 해외직구 등에 고객층을 뺏기면서 기존 대형마트의 최대 가치였던 가격 할인으로는 더이상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 의식을 느껴서다.
이마트는 이런 위기 의식을 담아 새로운 형태의 대형마트인 이마트타운을 지난 6월 18일 열었다. 이마트타운은 기존의 이마트와 창고형 할인 매장인 트레이더스, 가전전문 매장인 일렉트로마트 등이 결합된 대형마트다.
이갑수 이마트 대표는 “1993년 창동점 개점 이래 그간 새로운 쇼핑 문화와 가격이라는 장점으로 대형마트가 성장해 왔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생활에 가치를 주는 장소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이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발명위원회’를 구성했다. 발명위원회는 이마트 전 임직원이 고민한 아이디어를 매주 분석·검토해 새로운 상품과 가격을 결정하는 최종 의사 결정 기구로서의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또 이마트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이마트 본사에 ‘이마트 비밀 연구소’도 설치할 계획이다. 연구소는 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생활의 가치를 찾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발명하는 공간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8-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