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펀드, 美 금리인상 지연전망에 1.08% 수익률

국내 주식펀드, 美 금리인상 지연전망에 1.08% 수익률

입력 2015-10-10 12:06
업데이트 2015-10-10 1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주식형 펀드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지연 관측이 커짐에 따라 지난 한 주간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

10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8일 공시된 기준 가격으로 국내 주식펀드의 평균 주간 수익률은 1.08%로 집계됐다.

미국의 9월 고용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며 금리 인상 시점이 뒤로 밀린 것이란 전망에 증시가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지수가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K200인덱스펀드가 2.02%의 수익률로 가장 우수한 성과를 올렸다.

일반주식펀드와 배당주식펀드가 각각 0.69%, 0.25% 수익률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코스피 중형주지수와 코스닥지수RK 약세 흐름을 보임에 따라 중소형주식펀드는 -0.37%의 부진한 성과를 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천795개 중 1천387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웃돈 펀드는 489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전자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인 ‘미래에셋TIGER반도체상장지수(주식)’와 ‘미래에셋TIGER200IT상장지수(주식)’가 각각 5.67%, 5.16%의 수익률로 주간성과가 가장 우수했다.

반면, 운수장비 업종 하락으로 ‘삼성KODEX자동차 상장지수[주식]’펀드가 -3.60%의 손실을 내며 성과 최하위에 자리했다. 헬스케어 관련 종목 약세로 ‘미래에셋TIGER헬스케어상장지수(주식)펀드’도 2% 이상 가치가 하락했다.

국내 채권펀드는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며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242개 국내채권형 펀드 중 160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KIS채권지수(1년 종합) 수익률을 웃돈 펀드는 52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주식펀드는 미국 금리 인상 지연 가능성의 확대와 원유 가격 회복 등이 호재로 작용해 3.80%의 수익률을 냈다.

최근 조정이 컸던 기초소재섹터와 에너지섹터, 브라질 중심의 남미신흥국주식펀드가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브라질주식펀드가 한 주간 5.26%의 수익률로 가장 좋은 수익률을 거뒀고, 중국주식펀드(4.41%), 유럽주식펀드(3.33%), 일본주식펀드(3.14%), 북미주식펀드(2.47%), 인도주식펀드(1.73%) 등의 가치도 줄줄이 상승했다.

반면, 헬스케어섹터펀드(-0.71%)는 해외주식형펀드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헬스케어섹터펀드는 차익실현 매물에 약세가 이어지며 최근 한 달간 -7.27% 수익률로 조정을 받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