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내년 결판 ‘모기기피제’ 식약처·소비자원 승자는?

[경제 블로그] 내년 결판 ‘모기기피제’ 식약처·소비자원 승자는?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0-13 23:10
업데이트 2015-10-14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전·유효성 재평가 실시하기로

‘짝퉁 백수오’에 이어 지난 8월 한국소비자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 간 ‘모기 기피제’를 둘러싼 안전성 논란으로 한바탕 시끄러웠는데요.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는 양측의 행보를 부처 간 칸막이로 보고 강하게 꾸짖었습니다. “국민 안전과 관련된 국가 기관의 발표는 충분한 사전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발표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도 국민들은 어느 기관의 말이 옳은지를 알지 못합니다. 양측이 아직도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죠. 소비자의 관심사는 ‘모기 기피제에 발암물질이 있느냐, 없느냐’입니다. 소비자원은 ‘발암 가능 물질이 있다’고 주장했고, 뒤에 내놓은 정정 보도 자료에서도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유럽연합(EU)에서 사용을 금지한 이유에 대한 ‘팩트 수정’만을 했을 뿐입니다. 이에 반해 식약처는 “발암 가능 물질이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국 식약처가 ‘끝판왕’이 되겠다고 나섰습니다. 식약처는 13일 “소비자 안전 강화 차원에서 유통되는 모기 기피제(의약외품)에 대한 재평가 작업을 내년부터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재평가는 이미 허가받은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최신 과학기술 수준에서 다시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소비자원의 이의 제기에 제대로 검사해서 결론을 내겠다는 것이죠.

안만호 식약처 대변인은 “당초 내년 식약처 업무계획에 모기 기피제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포함돼 있었지만 일각에서 (모기 기피제가) 안전하지 않다고 하니 좀 더 서둘러 꼼꼼히 조사해 실상을 알리겠다”고 말했습니다.

재평가 대상은 디에틸톨루아미드와 리나룰, 메토플루트린, 시트로넬라오일, 정향유 등 8개 성분을 함유한 모기·진드기 기피제입니다. 소비자원이 발암물질이 있다고 의심한 성분은 시트로넬라오일과 정향유입니다.

이제 두 기관 중 1곳은 신뢰도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한쪽은 사과를 해야 하고 다른 한쪽은 의기양양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국민은 두 기관의 자존심 싸움보다 국민 안전의 파수꾼이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내년 결과 발표 때는 두 기관의 합동 브리핑을 기대해 봅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0-14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