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입만 바라보는 신동주…경영능력은 물음표

아버지 입만 바라보는 신동주…경영능력은 물음표

입력 2015-10-18 17:37
업데이트 2015-10-18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일 롯데 매출 11배 차이

롯데그룹의 경영권을 두고 신씨 형제가 치고받는 싸움을 벌이는 가운데 지난 16일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은 기자들 앞에서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구순의 나이에 “앞으로 10년, 20년 더 경영하겠다”고 하고 그룹을 뿌리째 뒤흔든 경영권 분쟁에 대해 “별 일 아니고 용서하면 될 일”이라고 말해 판단력이 흐려졌다는 일각의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달 초 국내에 SDJ코퍼레이션이라는 회사를 세우고 본격적인 여론전에 나선 신 전 부회장은 이런 아버지의 입만 바라보고 있다. 재계에서는 신 전 부회장이 재계 5위 기업 롯데를 맡아야 하는 정당성을 아버지의 뜻에서 찾을 게 아니라 스스로 경영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신 전 부회장은 지난 8일 기자회견에서 동생 신동빈 롯데 회장에 대해 “경영 능력이 없다. 중국에서 손실을 많이 봤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롯데 측은 “숲은 보지 않고 나무만 보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1990년대 이후 신 총괄회장의 뜻에 따라 일본 롯데는 장남 신 전 부회장이, 한국 롯데는 신 회장이 맡아 경영했다. 지난 7월 한·일 양국 롯데의 지주회사 롯데홀딩스가 일본 현지 신문에 공시한 지난해 전세계 계열사 연결 실적을 보면 롯데의 매출은 6조 5000억엔, 연결 영업이익은 2300억엔이다. 전체 매출 가운데 한국 롯데가 80%를 차지하고 일본의 매출 비중은 3000억엔으로 5% 미만이다.

 롯데홀딩스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2013년 한·일 롯데 매출로도 한국 롯데의 매출 규모는 일본의 11배에 달한다. 질적인 비교에서도 한국 롯데가 압도적이다. 일본 롯데는 식품, 외식 사업 위주의 소극적인 사업을 펼치는 반면 한국 롯데는 유통, 화학, 건설 등 종합 기업으로 성장했다.

 조직 장악력에서도 신 전 부회장은 동생에 뒤진다는 평가다. 신 회장은 20여년간 한국 롯데 임직원을 자신의 편으로 확실히 확보한 반면 신 전 부회장은 일본 임직원은 물론 주주들의 지지도 얻지 못했다. 국내 활동에도 지원 세력이 없어 개인적 친분이 있는 외부 인사인 민유성 전 산업은행장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형편이다.

 신 전 부회장이 경영권을 차지하려면 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최소 과반 이상의 지분을 얻어야 한다. 롯데홀딩스 과장급 이상으로 구성된 종업원 지주회(27.8%)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상당히 어렵다는 게 롯데 안팎의 전망이다. 롯데 관계자는 “일본 롯데 임직원들은 신동빈 회장의 경영능력을 신뢰하고 있어 쉽게 지지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