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탓 방한 외국인 4개월째 감소했지만 거의 회복

메르스 탓 방한 외국인 4개월째 감소했지만 거의 회복

입력 2015-10-21 07:24
업데이트 2015-10-21 0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로 9월에도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4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방한 외국인이 6월과 7월, 8월에 비해서는 크게 증가한데다, 작년 수준에 육박하면서 국내 관광시장이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

21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9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120만6천764명으로 작년동기의 124만5천777명으로 3.1% 줄었다.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은 8월에는 106만9천314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6.5% 감소한 바 있다. 앞서 7월과 6월에도 각각 62만9천737명과 75만925명으로 53.5%와 41.0% 줄어들었다.

지난달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59만1천242명으로 작년동기에 비해 4.8% 증가했다.

방학이 끝난 비수기였지만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사태가 진정되면서 개별여행객이 다시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전승절 연휴(9월 3일부터 6일까지)와 중추절 연휴(9월 26일부터 27일까지)도 방한여행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한 요인이다.

홍콩 관광객은 5만2천400명으로 29.0% 성장했다. 9월부터 한국-홍콩간 대부분의 항공노선이 정상화되고, 8월 후반부터 특별 할인 상품이 출시되는 등 방한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인 관광객은 15만7천313명으로 작년동기의 19만6천306명보다 19.9% 감소했다.

이에따라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방한 외국인은 958만1천423명으로 작년동기(1천68만67명)에 비해 10.3% 줄었다.

한편 9월 해외로 떠난 한국인은 추석 연휴 등의 효과로 작년 동월 대비 14.4% 증가한 151만1천657명으로 집계됐다.

관광공사 관계자는 “우리나라 관광시장은 메르스 여파에서 거의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10월부터는 방한 외국인은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