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장동 SK아카디어 연수원에서 열린 ‘2015 SK 동반성장 CEO(최고경영자) 세미나’에서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협력사 CEO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광장동 SK아카디어 연수원에서 열린 ‘2015 SK 동반성장 CEO(최고경영자) 세미나’에서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협력사 CEO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SK그룹은 협력업체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식으로 상생협력을 실천하고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키워드는 교육에 있다. SK는 2007년부터 ‘동반성장 CEO(최고경영자)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협력업체 CEO들은 경영전략, 재무, 마케팅, 리더십 등 기업경영 전반에 관한 노하우를 교육해 준다. 2014년 말 기준 4200여명의 협력업체 CEO들이 강의를 들었다. 세미나에는 동반성장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그룹 최고 책임자인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참석한다. 세미나는 협력업체 CEO들이 SK 경영진들과 협력업체의 실상과 애환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자 SK 경영진과의 네트워킹을 확보하는 기회로도 활용되고 있다.
SK텔레콤의 협력업체 블루엔이 정홍채 대표는 “현장에서 밤낮없이 일하다 보면 교육기회를 갖기 어려운 것이 중소기업의 현실이다”면서 “SK 같은 대기업과 교육 인프라와 기술력을 공유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효과가 커지면서 SK의 상생경영에 대한 투자도 커지고 있다. SK는 2013년 3600억원이던 동반성장 펀드 규모를 2014년 4200억원으로 확대했다. SK는 이 펀드에서 협력업체에 저금리 사업자금을 대출해 주고 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0-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