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씌울 필요 없구요”

[경제 블로그]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씌울 필요 없구요”

이유미 기자
입력 2015-10-28 23:04
수정 2015-10-29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중은행장 간담회 “우산 뺏지 말라더니… 어쩌라는 건가요” 돌발 질문에

요즘 금융권에선 ‘우산’ 논란이 한창입니다. ‘비 올 때 우산을 뺏으라는 거냐, 씌워 주라는 거냐’라는 논란입니다. 출발은 지난 8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을 향해 “비 올 때 기업들 우산을 뺏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이 알려진 뒤 은행들이 대출을 축소하려 하자 일침을 가한 겁니다. 그런데 최근 금융당국은 ‘좀비기업’(한계기업) 퇴출을 강도 높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부실 기업을 지원하는 은행과 직원에겐 책임을 묻겠다는 ‘초강수’를 두기까지 했습니다.

금융권은 두 달 만에 급선회한 금융당국을 보며 당혹감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이런 불만은 지난 2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진 원장과의 시중은행장 간담회에서도 불거졌습니다. 이날 진 원장은 “옥석 가리기를 통해 한계기업을 신속히 정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한 시중은행장이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말라고 했다가 이제는 구조조정을 하라고 하니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칫 분위기가 가라앉을 것을 우려한 또 다른 시중은행장은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우산을) 씌워 줄 필요가 없지 않으냐”고 진 원장 대신 서둘러 대답했죠. 이에 진 원장과 은행장들 사이에서 박장대소가 터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웃을 일만은 아닙니다. 간담회장을 빠져나오는 진 원장이나 행장들의 표정이 ‘밝아도 밝은 게 아니었던’ 까닭도 여기에 있습니다.

금감원은 이달 시중은행에 ‘기업 구조조정’의 큰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은행들은 당국 지침을 일괄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태도입니다. 간담회에서도 한 시중은행장은 “은행마다 기업 신용등급 평가 방식이 다르니 기업 구조조정은 각 은행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할 경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같은 기업이라도 각 은행 기준에 따라 퇴출 대상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요. 기업 퇴출 과정에서 영세기업들이 연쇄 부도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불과 몇 달 새 금융 당국이 말을 바꾸는 판국인데 훗날 ‘기업들 우산 뺏었다’고 (은행을) 질책할지 누가 알겠느냐”고 반문합니다. 금융당국이 구조조정에 앞서 금융권에 확신부터 심어 주는 게 시급해 보이는 이유입니다. ‘우산 논란’이 재연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말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0-2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