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重·대우조선, 한진해운·현대상선 합병안 나돌아
장기 불황에 빠져 위기에 몰린 국내 조선·철강·해운 산업이 잇따른 구조조정 설(說)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때 국내 제조산업을 떠받치던 이들 업종이 지속되는 실적 악화로 인해 ‘미운 오리 새끼’로 전락하면서 정부가 무리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조선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안이, 해운업계에서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안이 나돌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고, 한진해운이 현대상선을 인수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쟁과 비용을 줄여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현실성이 없을 뿐 아니라 이 같은 방안이 추진됐을 때 발생할 위험부담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합병될 경우 사무직군은 절반 이상 인력이 축소될 것”이라면서 “특성상 조선업이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높은 만큼 (합병으로 인해)지역 경제에 미치는 타격도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합병설에 대해 업계와 정부는 일단 모두 부인했다. 한진해운은 이날 공식 입장자료를 내고 “정부로부터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에 대한 검토를 요청받았으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고, 현대상선 역시 공시를 통해 “정부로부터 (양사 합병안에 대해)검토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이날 “포스코의 구조조정방안을 마련한 바 없다”고 밝혔다.
윤석헌 숭실대 교수는 “구조조정은 기업들 스스로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정부 주도로 ‘대마’(大馬)를 만들었다가 결과가 좋지 않을 경우 더 큰 비용 부담을 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10-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