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입력 2015-11-06 09:23
수정 2015-11-06 09: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정식 JSK글라스브레이커 대표, 고정형 유리 파괴기 한·미 특허 출원

지난해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 때 학생들이 침몰한 선박 안에서 만일 유리창을 깰 수 있었다면 살 수 있었을까?

이미지 확대
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침수 차량이나 침몰한 선박의 유리를 깨는 ’고정형 유리 파괴기’를 개발한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거주하는 재미동포 김정식 ’JSK 글라스 브레이커’ 대표.
그는 ”세월호가 침몰하는 뉴스를 보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며 ”위급한 상황에서 손쉽게 유리를 파괴하고 탈출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장치를 연구하고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재미동포, 침몰 선박 안에서 유리창 깨는 기술 개발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거주하는 재미동포 김정식 ’JSK 글라스 브레이커’ 대표가 개발한 침수 차량이나 침몰한 선박의 유리를 깨는 ’고정형 유리 파괴기’.
김 대표는 ”세월호가 침몰하는 뉴스를 보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며 ”위급한 상황에서 손쉽게 유리를 파괴하고 탈출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장치를 연구하고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통상 물에 빠진 차량이나 선박은 수압 때문에 유리창을 깨고 탈출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거주하는 재미동포 김정식 ‘JSK 글라스 브레이커’ 대표가 침수 차량이나 침몰한 선박의 유리를 깨는 ‘고정형 유리 파괴기’를 개발했다.

이제 물에 빠진 차량이나 침몰한 선박에 갇힌 채 목숨을 잃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기대를 품게 된 것이다.

6일 이 회사 홈페이지(www.jskglassbreaker.com)에 따르면, 고정형 유리 파괴기는 승용차·버스·선박·기차 등의 창문을 구성하는 프레임 유리 내벽에 부착한다. 비상시에 커버나 안전핀을 제거해 레버가 돌출되면 오른쪽으로 돌려 강화유리면에 손상을 입힘으로써 전체 유리를 파괴하는 원리다.

김 대표는 고정형 유리 파괴기를 개발해 국민안전처가 시행하는 안전기술개발 유공 부문 ‘정부 포상 추천 대상자’ 명단에도 올라 있다.

공적 내용을 보면, 그는 38년 10개월 동안 유리와 관련된 산업에 종사했다. 지난해 5월 차량 및 선박용 고정형 유리 파괴기 샘플 제작을 완료해 미국에 특허 출원했고, 6∼7월 모형 선박 및 차량 등 실물 모형 시험(MOCK-UP TEST)을 거쳤다. 8월에는 이 장치로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김 대표는 오는 26∼28일 경기도 고양시의 킨텍스에서 국민안전처 주최로 열리는 ‘제1회 대한민국 안전기술 박람회’에 이 파괴기를 출품할 계획이다.

그는 앞서 6월 17∼19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제2회 국제 해양·안전장비 박람회’에서도 이 장치를 선보여 관심을 끌었다.

김 대표는 소개 영상에서 “세월호가 침몰하는 뉴스를 보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면서 “위급한 상황에서 손쉽게 유리를 파괴하고 탈출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장치를 연구하고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머 등 기존의 유리 파괴 장치들은 분실 우려도 있고 정작 위급할 때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이를 보완해 고정형으로 누구나 손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유리 파괴기가 한국에서 가장 먼저 실용화되기를 바랍니다.”

그는 ‘몸매 종결자’로 불리는 모델 겸 방송인 유승옥을 CF 모델로 발탁해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승옥은 배 모형과 자동차 등에 직접 탑승해 고정식 유리 파괴기로 유리를 깨고 탈출하기도 했다.

유승옥은 이 제품을 만든 뜻에 공감해 CF 출연 계약금의 일부를 댈러스 한국학교에 기부하기로 했다. 14일 댈러스 뉴송교회에서 열리는 제2회 코리안 페스티벌에서 전달식을 치를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